'뛰어야 산다 in 시드니' 이장준 "세계 7대 마라톤 시드니 대회 부숴보자"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2 10:19:24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MBN 마라톤 예능 ‘뛰어야 산다 in 시드니’가 웅장한 대회 스케일을 담은 티저 영상을 공개했다.

 

▲'뛰어야 산다 in 시드니'. [사진=MBN]

 

오는 11월 10일과 17일, 2주간 방송되는 MBN ‘뛰어야 산다 in 시드니’는 시즌1 우승 특전으로 주어진 세계 7대 마라톤 대회 ‘호주 시드니 마라톤’ 출전을 배경으로, 션, 이영표, 양세형, 고한민, 이장준, 슬리피 등이 세계 무대에 도전하는 과정을 그린다. 이들은 낯선 환경 속에서 진짜 러너로 성장하는 여정을 통해 감동과 웃음을 선사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제작진은 ‘진짜 러너들의 꿈의 레이스’라는 부제에 걸맞게 호주의 광활한 자연과 시드니 마라톤 대회의 열정을 담은 공식 티저 영상을 선보였다. 

 

‘호주 뉴사우스 웨일즈’라는 자막과 함께 광활한 포트스테판 사막, 낭만적인 와이너리 지역인 헌터밸리, ‘서퍼들의 성지’ 본다이 비치, 그리고 활기찬 도시 시드니의 풍경을 담은 이번 티저에서 시즌1 우승자인 이장준을 비롯한 션, 이영표, 양세형 등은 호주 곳곳을 열심히 달리면서 “와! 미쳤다”, “그림이다~”라며 텐션을 폭발시킨다.

 

직후, 전 세계 3만5000여 명이 도전한 시드니 마라톤 대회 현장이 펼쳐지며 “세계 7대 마라톤 대회!”라는 설명이 더해지고, 션 역시 “세계 7대 마라톤답네”라고 감탄한다. 

 

급기야 이장준은 “와! 내가 시드니를 달리고 있어! 대회 부숴 보자!”라며 환호성을 지른다. 그러나 흥분도 잠시, 이들은 낯선 세계 대회에서 마주한 42.195km의 벽 앞에서 저마다 고비를 맞는다. 션은 대회 중 다리가 저린 듯 고통스런 표정을 짓고, 누군가가 아예 바닥에 누워서 “으악”이라며 비명을 질러 대체 무슨 일이 생긴 것인지 궁금증을 안긴다. 

 

여기에 ‘진짜 러너로 거듭날 마지막 도전’이라는 자막이 더해지면서 시드니 마라톤을 통해 한계를 넘어서게 될 ‘뛰산 크루’의 치열한 여정에 대한 기대감을 고조시킨다.

 

한편 MBN ‘뛰어야 산다 in 시드니’는 11월 10일과 17일, 2주간 방송돼 다시 한 번 안방에 마라톤 열기를 가져다 줄 예정이며, 그 바통을 이어 11월 24일부터는 MBN ‘뛰어야 산다’ 시즌2가 방송된다. 

 

시즌2에는 시즌1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션, 이영표, 양세형, 고한민이 플레이어로 활약하며, 배우 최영준, 임세미, 이기광, 임수향, 정혜인, 유선호가 새롭게 합류해 ‘최강 러너’ 라인업을 완성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국타이어, 독일 자동차 전문지 겨울용 타이어 테스트에서 압도적 성과
[메가경제=정호 기자] 한국앤컴퍼니그룹의 글로벌 선도 타이어 기업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의 프리미엄 겨울용 타이어 브랜드 ‘윈터 아이셉트(Winter i*cept)’ 제품군이 최근 독일 5대 자동차 전문지 주관 겨울용 타이어 성능 비교 테스트에서 압도적인 성과를 잇달아 거두며 톱티어(Top Tier) 수준의 기술력을 입증했다. 22일 한국타

2

희망브리지, 원동119안전센터에 전기차 화재 대응 장비 지원
[메가경제=정호 기자]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가 경기고속도로와 함께 경기도 오산시 원동119안전센터에 전기차 화재 대응 장비 ‘EV드릴렌스’를 전달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지원은 지난 7월 경기고속도로가 희망브리지에 1천2백만 원을 기부하면서 추진됐다. 희망브리지는 해당 기부금으로 EV드릴렌스를 구입해 소방 현장에 전달한 것이다. EV드릴랜스는

3

현대차·기아 '2025 R&D 협력사 테크 데이' 개최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협력사와의 연구개발 상생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린다. 현대차·기아는 22일 롤링힐스 호텔에서 R&D본부장 양희원 사장을 비롯한 문성준 현대차·기아협력회장, 이택성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이사장, 안정구 자동차산업부품진흥재단 이사장 등 협력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2025 R&D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