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이커, 뮤지션 나얼의 '나얼의 음악세계'와 협업한 캡슐 컬렉션 출시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3-08-18 08:28:30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기자]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컬처 블렌딩 유니언(Culture Blending Union) ‘비이커(BEAKER)’가 뮤지션 나얼의 ‘나얼의 음악세계(나음세, na’mm’se)’와 협업한 상품을 출시하고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한남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오는 30일까지 팝업 매장을 운영한다고 18일 밝혔다.

비이커는 동시대 문화와 트렌드의 차별화된 큐레이션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서, 패션을 넘어 음악, 예술, F&B 등 이종 문화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비이커가 뮤지션 나얼의 '나얼의 음악세계'와 협업한 캡슐 컬렉션을 출시한다[사진=삼성물산패션부문]

지난 2021년 악뮤, 2022년 백예린에 이어 올해는 한국 대표 R&B 아티스트 나얼과 협업을 진행한다.

뮤지션 나얼의 ‘나얼의 음악세계(나음세, na’mm’se)’는 R&B에 대한 그의 사랑을 보여주는 유튜브 채널이다. 나얼이 추구하는 1970~90년대 소울과 R&B 음악 위주로 구성된 플레이리스트를 선보이는데, 현재까지 소개한 곡이 1000여 개에 달한다.

비이커X나음세 협업 캡슐 컬렉션은 작가로도 활동중인 나얼이 직접 그린 아트워크를 기반으로 제작된 티셔츠, 에코백, 우산, 밀크 클래스, 티 코스터, 스마트톡 등 총 13개 상품으로 구성된다.

나얼의 연작 앨범 시리즈 ‘Soul Pop City(소울 팝 시티)’와 새로운 싱글 ‘Word(워드)’의 아트워크가 적용된 티셔츠/밀크 글래스, 나얼의 정규 1, 2집 앨범 커버와 LP 디자인을 축소해 만든 티 코스터, ‘나음세’ 유튜브 채널의 아트워크인 ‘Long Play 2(롱 플레이 2)’가 적용된 에코백/우산/스마트톡 등이 출시된다.

특히 비이커는 이번 ‘나음세’와의 협업을 기념해 오는 30일까지 한남 플래그십 스토어 1층에서 팝업 매장을 운영한다.

비이커X나음세 협업 상품을 판매할 뿐 아니라 나얼의 그림 작품을 전시하고, 최근 공개된 신곡 ‘Word’와 대표곡, 나얼이 엄선한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을 대형 빈티지 스피커를 통해 감상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또 오는 19일에는 ‘나음세’ 유튜브 채널을 통해 팝업 스토어에서 촬영한 특집 콘텐츠가 공개될 예정이다.

비이커X나음세 협업 캡슐 컬렉션은 비이커 한남/청담 플래그십 스토어,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전문몰 SSF샵에서 판매된다.

이윤경 비이커 리테일팀장은 “비이커는 뮤지션 나얼의 ‘나얼의 음악세계’와 협업을 통해 고객들에게 소장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아이템을 제안하고 ‘전시’ 개념을 도입한 팝업 스토어도 함께 마련했다”라며, “앞으로도 패션을 넘어 동시대의 문화를 소개하는 브랜드로서 다양한 영역과 콜라보레이션을 펼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