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홈쇼핑, 전략 패션 브랜드 '릴리오'·'우바' 론칭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0-07 08:42:34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롯데홈쇼핑이 올해 가을, 겨울 시즌을 이끌 전략 브랜드 ‘릴리오(LiLiO)’, ‘우바(UVA)’를 연이어 론칭하고, 패션 성수기 경쟁력 강화에 집중한다고 7일 밝혔다. 

 

롯데홈쇼핑은 프리미엄 소재를 활용한 고급 아이템과 실용적인 패션 상품을 선보이는 '투트랙' 전략으로 가을, 겨울 패션 시즌을 공략하고 있다. 올해 새롭게 선보인 패션 특집전 ‘뉴 컬렉션 쇼(8/21~9/8)’를 통해 총 10개 브랜드의 신상품 73종을 선보인 결과 누적 주문액 400억 원을 돌파하며 좋은 반응을 얻었다. 특히, 고급 소재를 내세운 패션 브랜드에 수요가 집중됐다. 

 

▲ <사진=롯데홈쇼핑>

 

홈쇼핑 패션의 고급화를 이끈 단독 패션 브랜드 ‘LBL’의 9월 한 달 간 주문건수는 지난해보다 30% 증가했으며, 4050 여성들의 지지를 얻고 있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 ‘안나수이’는 50% 신장했다. 이번에 론칭하는 ‘릴리오’, ‘우바’는 올해 롯데홈쇼핑이 가을, 겨울 시즌을 앞두고 가장 심혈을 기울여 기획한 브랜드로, 고급화에 정점을 찍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럭셔리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릴리오’는 2003년 론칭한 네덜란드 브랜드로, ‘여행 같은 일상에 컬러로 특별함을 제안’하는 콘셉트 아래 편안한 스타일, 화려한 패턴과 색채감이 특징이다. 롯데홈쇼핑은 ‘릴리오’ 론칭을 위해 약 6개월 간 공을 들여 단독 라이선스 계약 체결에 성공했다. 8일 공개하는 ‘캐시미어 100% 가디건’은 부드러운 감촉과 고급스러운 광택감이 특징이며, 핑크, 옐로우, 네이비 등 색상도 다양하다. 

 

‘폭스 캐시미어 헤어리 니트’는 가벼우면서도 푹신한 감촉으로 활용도가 높다. 프리미엄 패션 브랜드 ‘우바’의 캐주얼 럭셔리 라인도 선보인다. 자연스럽고 성숙한 멋을 드러내는 ‘뉴 머츄어 룩(New Mature Look)’을 콘셉트로, 아우터, 니트, 스커트 등을 차례로 공개한다. 11일 100% 천연모피 소재의 보온성이 뛰어난 ‘위즐 리버시블 재킷’과 활용도가 높은 니트 상하의 셋업을 공개한다. 향후 케이프 니트, 구스다운 등 신상품을 지속 선보일 계획이다.

 

김지연 롯데홈쇼핑 패션부문장은 “올해 패션 성수기를 겨냥해 롯데홈쇼핑이 가장 심혈을 기울여 준비한 프리미엄 패션 브랜드 릴리오, 우바를 연이어 론칭하게 됐다”며, “브랜드 정체성을 살린 고급스러운 패션 아이템으로 고객 기대를 충분히 충족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우아한형제들, 윤석준 사장 영입...新성장 동력 '정조준'
[메가경제=정호 기자] 배달의민족(이하 배민)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이 윤석준 전 삼성그룹 제일기획 부사장을 브랜드ㆍ커뮤니케이션 전략 총괄사장으로 영입하며 ‘배민 2.0’ 혁신에 박차를 가한다. 18일 배민에 따르면 윤 사장 영입과 함께 기존 커뮤니케이션 및 브랜딩 조직을 통합한 브랜드ㆍ커뮤니케이션 전략부문을 신설했다고 밝혔다. 윤 사장이 총괄하는 브랜드ㆍ커

2

NOL 인터파크투어, '제로베이스원 월드투어 패키지' 단독 출시
[메가경제=정호 기자] 놀유니버스가 운영하는 NOL 인터파크투어가 차별화된 여행 및 엔터 전문성을 활용해 고객 맞춤형 여행 경험 확산에 나선다고 18일 밝혔다. NOL 인터파크투어가 글로벌 그룹 제로베이스원(ZEROBASEONE)의 월드투어 ‘ZEROBASEONE WORLD TOUR [HERE&NOW]’를 맞아 공식 패키지 상품을 단독으로 선보인다.

3

"당근도 오네" CJ대한통운-당근마켓, 중고거래 배송 '협업'
[메가경제=정호 기자] CJ대한통운이 당근마켓과 손잡고 중고거래 이용자를 위한 배송 서비스를 선보인다. 고물가와 경기 침체로 ‘불황형 소비’가 늘어나고 한정판·명품·패션 등을 중심으로 중고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이와 함께 성장하는 물류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CJ대한통운은 당근마켓이 17일 출시한 ‘바로구매 서비스’의 배송을 전담한다고 18일 밝혔다. 양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