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구 현대오토에버 대표, 미국 법인 해킹 논란에 책임론 '확산'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8 09:08:19
  • -
  • +
  • 인쇄
고객정보 유출 의혹 제기…회사 측 "임직원 정보만 해당"
美 로펌 피해자 모집 착수…'통보 지연·은폐 의혹'도 부상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오토에버 미국법인에서 발생한 해킹 사건이 미국 현지에서 집단소송 움직임으로 번지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일부 보안 매체가 최대 270만 명의 고객 정보가 위협 받았을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현대오토에버를 이끄는 김윤구 대표에 대한 책임론도 점차 부각되는 상황이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김 대표는 올해 신년사에서 '고객 중심' 경영을 강조해 왔다. 이 발언과 대조적으로 미국 내 로펌들이 피해자 모집에 나서고 소비자 보호단체가 조사에 돌입하면서, 책임에서 자유롭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 김윤구 현대오토에버 대표.[사진=현대자동차그룹]

 

이번 사고는 현대차그룹의 미국 IT법인 '현대오토에버 아메리카(HAEA)'에서 2월 말~3월 초 사이 발생했다. 현지 언론은 이름, 사회보장번호(SSN), 운전면허번호 등이 포함된 민감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반면 현대오토에버는 실제로는 고객 정보가 아닌 일부 임직원의 내부 연락처 정보만 유출됐다고 진화에 나섰다. 회사 측은 "해당 사안은 이미 지난 5월 언론 보도로 알려진 내용이며 사고 직후 전담 대응팀을 꾸려 절차대로 조치를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또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통해 추가 침해 시도를 차단 중"이라고 덧붙였다.

 

논란의 핵심은 통보 시점이다. 해킹은 2~3월에 발생했지만 사측이 통보한 시점은 약 7개월이 지난 10월 말, 미국 로펌들은 "침해 사실을 늦게 공개했다"며 은폐 의혹까지 제기하고 있다. 미국의 데이터 브리치 공지 의무 규정은 '지체 없는 통보'를 요구한다.

 

이에 대해 현대오토에버 관계자는 "고의적 지연이 아니라 포렌식 분석과 영향받은 대상자를 특정하는 데 시간이 필요했다"며 "북미에서 유사 사고의 개인 통지까지 평균 9개월이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오히려 짧은 편"이라고 반박했다.

 

그럼에도 미국 소비자들의 우려는 지속되고 있다. 이번 사고가 현대차그룹 글로벌 보안 체계의 취약성을 드러낸 만큼, 국내 본사 차원의 보안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해외에서 개인정보 침해는 곧바로 대규모 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어 경영진의 책임이 무겁다"며 "김윤구 대표가 적극적으로 상황을 관리하지 않으면 논란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이지스운용, '항만물류 인프라 펀드' 위탁 운용사 선정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이지스자산운용은 해양진흥공사가 조성하는 항만물류 인프라 블라인드 펀드의 위탁 운용사로 최종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지난 21일 해양진흥공사는 이지스자산운용 등 운용사 2곳을 위탁 운용사로 선정하고, 총 2000억원을 출자하기로 결정했다. 아울러 민간 자본을 유치해 2000억~4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결성한다. 이지스자산운용은

2

국제 협력 활동 인정… 아이옵스, ‘2025 한국우주과학회 국제협력상’ 공동 수상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아이옵스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과 함께 ‘다누리 임무운영팀’으로 참여해 ‘2025 한국우주과학회 국제협력상’을 공동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시상식은 지난 10월 30일 제주 신화월드에서 한국우주과학회 주최로 진행됐으며, 이번 수상은 달 궤도선 ‘다누리(KPLO,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3

키움증권, 연9% 수익 글로벌지수 ELS 선보여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키움증권은 한국, 미국, 유럽의 대표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낙인배리어 35%의 주가연계파생결합증권(ELS)을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모집하는 ‘제3718회 키움 ELS’는 코스피200지수, 닛케이225지수, 유로스톡스5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만기 3년의 스텝다운형 상품이다. 6개월마다 조기상환 기회가 주어진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