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파크트리플, 11월 여행 지역 '엄선'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1-01 08:56:32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인터파크트리플이 여행의 고민 해결사 ‘여행 캘린더’ 채널을 오픈했다고 1일 밝혔다. 시기별로 여행하기 좋은 지역을 달력에 표시함으로써 여행을 언제, 어디로 떠날지 고민될 때 한 눈에 참고할 수 있다.

 

인터파크트리플이 운영하는 인터파크 투어는 ‘여행 캘린더’ 기획전을 상시 운영하면서 월별 추천 여행지를 소개하고, 관련 패키지, 항공, 숙소, 투어·이용권, 라이브 특가 상품 등을 선보인다.

 

▲ <사진=인터파크트리플>

 

11월 여행 캘린더가 추천하는 여행 지역은 태국 치앙마이, 일본 나고야 등이다. 오는 15일 시작하는 치앙마이 등불축제 ‘러이 끄라통(Loy Krathong)’과 ‘이 펭(Yi Peng)’은 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축제 중 하나로 손꼽힌다. 그중 이 펭 축제에서는 등불을 하늘에 띄워 보내며 소원과 함께 불행을 날려보내는 데, 수 천 개의 등불로 치앙마이의 밤 하늘을 밝히는 광경이 압도적이다. 

 

현재 인터파크 투어에서는 이 펭 축제를 200% 즐길 수 있는 투어·티켓상품을 판매 중이다. 티켓 구매 시 전통의례 체험부터 태국 북부 문화 공연 관람 및 요리 시식, 하이라이트인 등불 띄우기 체험까지 모두 가능하다.

 

일본에서는 11월 중순부터 일루미네이션(Illumination)이 시작된다. 화려한 조명과 다양한 테마가 어우러져 환상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내는 장소 중 나고야 ‘나바나노사토’는 동종 최대 규모의 조명 디스플레이로 인정받는다. 이 공원에는 움직이는 전망대 ‘아일랜드 후지’가 있어, 황홀한 경치까지 감상할 수 있다.

 

나고야·다카야마·신호타카 3박 4일 패키지 상품은 ‘나바나노사토’의 일루미네이션 관광은 물론 일본 유일의 2층짜리 케이블카 ‘신호타카 로프웨이’ 투어와, 일본의 작은교토로 불리우는 ‘산스이마치’,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으로 등재된 ‘시라카와고 합장촌’ 방문도 포함한다.

 

현재 인터파크 투어에서는 여행 전부터 여행 후까지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할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항공권·호텔 상품 구매시 투어·이용권 7% 추가할인, 데이터 로밍 5일 무료, 현지 쇼핑(아울렛)·현지 투어 할인, VVIP전용 1.5% 적립 등이다.

 

김연정 인터파크트리플 마케팅그룹장은 “여행을 고민하는 순간부터 여행은 시작된다. 인터파크 투어가 여행의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담은 여행 캘린더를 준비했다”라며 “여행 고민이 결심으로 이어지고, 실행으로 옮겨질 수 있도록 더 많은 혜택과 여행 일정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