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성과연동 주식 보상, 보유 자사주 소각 회피 수단 아냐"

황성완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7 09:00:50
  • -
  • +
  • 인쇄
전날 사내 게시판 통해 "사실 무근" 공지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삼성전자가 새롭게 시행하기로 한 '성과연동 주식보상'(PSU) 제도가 '자사주 소각 회피용'이라는 주장에 "사실 무근"이라는 입장을 표했다.

 

▲삼성전자 서초사옥.

 

삼성전자는 지난 16일 오후 사내 게시판을 통해 "PSU 제도를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행했다는 루머는 사실과 다르다"고 공지했다.

 

삼성전자는 "2024년 11월부터 2025년 9월까지 총 10조원의 자사주를 매입했고, 이 중 8조4000억원 규모 자사주는 '소각' 목적으로, 1조6000억원 규모 자사주는 '임직원 보상' 목적으로 활용하겠다고 이미 공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각 목적으로 매입한 자사주 중 3조원 규모 자사주는 이미 소각을 완료했으며, 5조4000억원 규모 자사주도 적절한 시점에 소각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3분기 잠정실적 발표 직후, 향후 3년간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PSU 제도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삼성전자가 보유 중인 자사주 소각을 회피하기 위해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보상 정책을 마련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현재 정치권에서 추진하고 있는 3차 상법 개정안은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한편 임직원 보상 등의 예외는 허용하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이를 이용하기 위해 PSU 제도를 도입했다는 주장이다. 또 임직원 주식 보상을 위해 신주를 발행해 기존 주주지분 가치가 희석될 수 있다는 의혹도 나왔다.

 

발단은 삼성전자가 지난 14일 발표한 PSU 제도다. 3년 뒤 주가에 따라 직원 1인당 자사주를 적게는 0주에서 많게는 600주까지 지급하는 내용이다.

 

실제 지급량은 주가 상승률에 따라 달라진다. 주가 상승률이 20% 미만이면 한 주도 받지 못하고, 40~60% 미만이면 직급에 따라 200~300주를, 100% 이상이면 그 두 배인 400~600주를 받게 된다. 기존 성과급과는 별도의 일회성 추가 보상이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전혀 사실이 아닌 근거 없는 주장이라는 입장이다. 또한, 임직원 주식 보상을 위해 신주 발행을 할 계획도 없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메이플 아지트는 메이플 오프라인 커뮤니티 거점” 이동열 넥슨 사업실장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넥슨은 17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메이플스토리 IP 테마 상설 PC방 메이플 아지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이동열 ‘메이플스토리’ 사업실장은 “메이플 아지트는 최초의 거점 피시방이라는 프로젝트에서 시작됐다”며 “메이플스토리를 사랑해 주는 용사님들이 모여 게임을 즐기시고 함께 소통하면서 더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어가는 커뮤니티

2

CJ그룹, 윤석환 CJ제일제당·이건일 CJ푸드빌 대표 겸직
[메가경제=정호 기자] CJ그룹이 CJ제일제당 대표이사에 윤석환 바이오사업부문 대표, CJ푸드빌 대표이사에 CJ프레시웨이 이건일 대표를 내정하는 CEO 인사를 단행한다고 17일 밝혔다. 양 대표는 기존 바이오사업부문과 CJ프레시웨이 대표이사직을 각각 겸직한다. CJ그룹은 기존 정기 임원 인사에서 CEO인사와 신임 경영리더 승진, 계열사별 조직개편 등을 통합

3

나명석 신임 프랜차이즈협회장 "소상공인과 본부 함께 성장하도록 하겠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가맹본부의 이해만 대변하는 기구가 아니라 소상공인과 본부가 함께 성장하는 산업 플랫폼으로 재정립하겠다" 제9대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협회장으로 당선된 나명석 웰빙푸드 회장은 17일 오후 서울 서초구 양재동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 외국기업창업지원센터에서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나 회장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