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들, 전국 모바일 결제망 공동 구축

황동현 / 기사승인 : 2023-05-26 09:02:46
  • -
  • +
  • 인쇄
VAN사, 간편결제사도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하고 참여
모든 카드 가맹점서 각 사 앱으로 모바일 결제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카드사 공동 전국 모바일 결제망이 구축된다. VAN사, 간편결제사도 참여하며, 국제규격 EMV QR도입으로 모든 카드 가맹점에서 각 사 앱으로 모바일 결제가 가능하게 된다.


카드사(롯데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VAN사(나이스정보통신, 한국정보통신, KIS정보통신), 간편결제사(카카오페이)가 함께 모바일 결제 공통 규격 추진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지난 24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 카드사, VAN사, 간편결제사 함께 모바일 결제 공통 규격 추진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지난 24일 체결했다. [사진=여신금융협회]

 

이날 업무협약식은 각 참여사 디지털 담당 임원을 비롯해 카드사, VAN사 및 간편결제사 실무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참여사는 대한민국 소비자의 모바일 결제를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구축하기 위해, 모바일 QR결제 공통규격으로 'EMV QR'을 선택하며, 2023년 6월까지 규격 결정 및 각 사 전산 개발을 진행 할 예정이다. 또한, 2023년 7월까지 VAN사 및 대형 가맹점과 함께 공통 규격 적용을 위해 협의하며, 이에 따른 이행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최대한 다양하고 편리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가 호환될 수 있도록 활발한 논의를 진행한다. EMV는 결제 시장 표준 중 하나로, 접촉·비접촉·QR및 온라인 결제의 표준이 정의된 국제 규격이다.


또한, 참여사는 공통 QR 규격 확산을 위해 각 사별 1인이상 참여하는 TFT를 구성하여, 대한민국 모바일 결제 공통 규격 추진을 위해 상호 협력을 진행키로 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소비자는 더 많은 가맹점에서 간편결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고, 가맹점도 쉽게 간편결제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내 QR결제 공통 규격이 마련되면, 해외 간편결제사들도 한국을 여행하는 관광객들에게 더욱 많은 가맹점에서 자신들의 간편결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결제망은 신용카드 비즈니스의 핵심 축으로, 이번 공동망 구축을 통해 모바일결제서비스 주도권을 카드사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카드사, VAN사 등 기존 결제사업자와 간편결제사가 시장 확대를 위해 손을 잡는 움직임은 매우 긍정적이다.’고 밝히면서, ‘네이버페이도 실무자 TFT구성시에는 참여하기로 한 것으로 안다.’라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이마트, 4일간 세일 대장정 '2025 쓱데이' 개막
[메가경제=정호 기자] 쓱~하고 담는 순간, 마법처럼 할인된다. 대한민국 대표 쇼핑 축제 ‘쓱데이’가 화려한 막을 올린다. 10월 30일부터 11월 9일까지 11일간 진행되는 쓱데이의 마법 같은 첫 할인은 ‘이마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마트/트레이더스/에브리데이가 10월 30일부터 11월 일까지 4일간 ‘2025 쓱데이’ 할인 행사를 선보인다. 이마트

2

광동제약, 다회용 인공눈물 '아이톡쿨 점안액' 3종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광동제약은 다회용 인공눈물 ‘아이톡쿨 점안액’ 3종(순·라이트·쿨)을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아이톡쿨 점안액 3종은 주성분으로 ‘히프로멜로오스(Hypromellose)’를 함유한 것이 특징이다. 이 성분은 인공눈물의 점도를 높이고 눈물이 각막에 머무르는 시간을 늘려 눈의 건조함을 완화하는 효과가 더 오래 지속되도록 돕는다. 눈의

3

HK이노엔 뷰티 브랜드 ‘비원츠’, 동남아 시장 공략 속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HK이노엔(HK inno.N)의 슬로 에이징 스킨케어 브랜드 ‘비원츠(bewants)’가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비원츠’는 지난 3개월간 국내 시장에서 올리브영 매장 입점 등 빠른 성장세를 보인 데 이어,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태국과 말레이시아 주요 유통 채널 입점을 확정하며 동남아시아 핵심 거점을 확대했다. 싱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