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마트, 자원순환 유공 환경부 장관 표창 수상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09-13 09:11:06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롯데마트가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개최된 ‘제16회 자원순환의 날 기념식’에서 환경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13일 밝혔다. 

 

자원순환의 날은 환경부와 한국폐기물협회가 공동으로 매년 9월 6일을 지구 환경 보호와 재활용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제정한 날이다. 이번 기념식은 '플라스틱 오염, 이젠 그만(Bye Bye Plastic)'을 주제로 부산광역시청에서 진행, 자원순환 분야에서 공로가 큰 기업, 지자체 등 19명의 유공자에게 포상을 수여했다.

 

▲ <사진=롯데마트>

 

롯데마트는 자원순환사회 형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유통사 중 유일하게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롯데마트의 대표적인 자원순환 실천 활동으로는 ▲폐현수막 업사이클을 통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작 및 기부 ▲자원순환 문화 확산을 위한 캠페인 및 업사이클 플리마켓 운영 ▲빈용기와 플라스틱 무인 회수기 설치 확대 등이다.

 

특히, 롯데마트 ESG팀은 올해 총선 기간동안 대량 발생한 선거 현수막의 재활용 방안을 모색,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과 함께 지난 3월부터 '폐현수막 업사이클 사업'을 시작했다. '폐현수막 업사이클 사업'은 롯데마트 점포와 인근 지역에서 수거한 폐현수막을 업사이클 기술을 통해 친환경 섬유 건축패널로 만들고, 이를 활용해 덱(deck)과 의자 등 전통 시장의 쉼터에 필요한 시설물로 제작 후 기부하는 사업이다. 

 

폐현수막을 업사이클한 친환경 건축자재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순환경제 가치를 높게 평가받는다. 아울러 이번 사업은 폐자원 순환의 인식 확대와 함께 지역 전통시장 환경개선에 기여, 상생 협력의 가치를 동반하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롯데마트는 '폐현수막 업사이클 사업'의 일환으로 오는 11월, 수원시 남문로데오시장의 청소년문화광장에 약 100평 규모의 무대 및 벤치 시설물을 폐현수막 업사이클 건축자재로 제작해 기부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롯데마트는 지난해 8월 롯데마트 수원점에서 '리얼스(RE:EARTH) 업사이클 플리마켓'을 열어 중고의류업체와 폐자원 업사이클 스타트업 총 7개사를 소개하며 자원순환 활동에 기여한 바 있다. 또한 빈용기 및 플라스틱 무인 회수기를 롯데마트 각 점에 설치해 폐자원 수거의 거점 역할을 수행중이다.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은 "이번 수상이 롯데마트가 자원 선순환을 선도하는 유통사로서 그동안 열심히 노력한 부분에 대한 결실이라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자원순환 사회 형성에 적극 기여할 수 있도록 ESG활동을 다각화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