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팔티·양말사러 마트가요" 홈플러스, '베이직 패션템' 불티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1-18 09:18:16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홈플러스 베이직 패션 아이템들이 실용성과 가성비를 우선으로 하는 최근 소비 트렌드에 힘입어 고객몰이를 하고 있다.

 

홈플러스가 올해 3월~10월 주요 패션 상품 판매 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베이직 티셔츠 등 유행에 덜 민감한 상시 저가 판매 상품(EDLP)들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누적 8만장이 판매된 ‘F2F 베이직 반팔티’는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32% 올랐고, ‘양말(EDLP 상품)’은 30% 증가했다. 일상에서 편하게 착용하는 ‘9부 팬츠’는 무려 122%, EVA 슬리퍼는 88% 성장했다.

 

▲ <사진=홈플러스>

 

올해 새롭게 출시한 신상품들도 반응이 좋다. 11월 16일 기준, 지난 9월 출시한 9900원 ‘유세븐 이지핏 워킹화’는 약 2만 8천 켤레 판매됐으며, 5900원에 론칭한 ‘데일리 깊은 볼캡’은 약 1만 4천 개나 팔렸다. 10월에 선보인 ‘F2F 경량 덕다운 베스트’는 약 한 달 만에 1만벌 판매를 달성했다.

 

대형마트 ‘베이직 패션템’들의 성장은 가성비와 실용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최근 소비 트렌드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경기 불황과 고물가가 장기화되면서, 유행을 크게 타지 않는 베이직 티셔츠 등 기본적인 의류 상품들은 백화점이나 유명 브랜드 대신 대형마트나 SPA브랜드에서 합리적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대형마트는 유통 단계를 대폭 줄인 자체 PB 상품들까지 확대하면서 경쟁력을 확대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각종 의류, 잡화 라인업을 지속 확대 중이다. 이달 20일에는 새로운 베이직 아이템으로 ‘무압박 에어 양말’을 출시한다. 일상에 꼭 필요한 기본 의류인 양말을 부담 없는 가격에 선보여 고객을 점포로 이끌겠다는 방침이다. ‘무압박 에어 양말’은 발목밴드에 와이드 스트레치 편직을 적용하여 압박 없이 편하고 흘러 내리지 않으며, 코마면소재를 사용해 부드러운 착용감을 자랑한다. 가격은 1번들(5족)에 5900원, 2번들에 9900원으로 합리적이다.

 

손영우 홈플러스 의류 총괄부장은 "최근 ‘실속 소비’ 트렌드가 확산하면서, 베이직 티셔츠 등 기본적인 의류는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실용적으로 구매하려는 경향이 강해졌다"라며, "또한 최근 대형마트 의류 품질이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좋아지고 있기 때문에, 가격과 품질을 모두 추구하는 고객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최애와의 30분' 츄, '찐팬'과 30분 진한 만남 '롱테이크 무편집'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가수 츄가 ‘최애와의 30분’ 첫 회 게스트로 등판, 자신의 ‘찐팬’과 30분 동안 진한 만남을 가지며 ‘인간 ENFP’의 매력을 폭발시킨다. 19일(수) 웨이브에서 독점 선공개되는 ‘최애와의 30분’(제작 스페이스래빗, 연출 남성현 안광현)은 팬들이 인생에 한 번 만나기도 힘든 자신의 ‘최애(가장 애정하는 사람)’와 30분을

2

파라다이스 호텔 부산 ‘남풍’, 임상진 닥터 셰프 초청 갈라 디너 개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파라다이스 호텔 부산의 중식당 ‘남풍’이 오는 20일 임상진 닥터 셰프를 초청해 특별 갈라 디너를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남풍 전석수 마스터 셰프와 임상진 닥터 셰프가 협업해 ‘음식과 약은 근원이 같다’는 의식동원(醫食同源) 철학을 담은 총 9가지 코스 요리를 선보인다.코스 요리는 △기운을 깨우는 백태 두유 △활복도

3

경희대병원 장재영 교수, 제14대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이사장 선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장재영 교수가 11월 14일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린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평의원회에서 제14대 이사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2027년 11월부터 2년간이다.장재영 차기 이사장은 선출 직후 부이사장직을 수행하며 차기 집행부 운영 준비에 들어갔다. 장 교수는 “지난 20여 년간의 학회 활동 경험과 내시경 질관리 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