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최대 2억 5000만원으로 신용대출 한도 상향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01-05 09:46:31
  • -
  • +
  • 인쇄
5일부터 신용대출, 마이너스통장 대출, 신용대출 플러스 한도 상향
중저신용고객 이달까지 '이자 캐시백 이벤트','대출안심플랜' 제공
CSS 차별화 통한 중저신용 대출 등 실수요자 중심 대출 확대
▲ 케이뱅크 사옥 전경[사진=케이뱅크 제공]

 

케이뱅크가 새해를 맞이해 5일부터 신용대출 한도를 최대 2억 5000만원까지 상향 조정한다. 중저신용고객은 1월 31일까지 '이자 캐시백 이벤트'와 '대출안심플랜'을 제공하며, 올해 CSS 차별화를 통한 중저신용 대출 등 실수요자 중심 대출을 확대할 예정이다.

케이뱅크는 신용대출 3종(신용대출, 마이너스통장 대출, 신용대출 플러스)에 대해 각각 1억원, 5000만원, 5000만원씩 상향 조정한다고 5일 밝혔다.

'신용대출'은 기존 1억 5000만원 한도에서 1억원을 상향에 최대 2억 5000만원까지 대출 가능하다. '마이너스통장 대출'과 '신용대출 플러스'는 현재 한도 1억원에서 1억 5000만원으로 증액한다.

'신용대출'은 직장인 대상 상품으로 6개월 이상 재직 중이고, 연 소득 2000만원 이상인 근로소득자라면 이용할 수 있다. 상환방식에는 대출 금액과 이자금액을 대출 기간 동안 매월 납부하는 '원리금 균등분할상환'과 대출 기간 동안 이자만 부담하고 만기 시에 대출금을 모두 상환하는 '만기일시상환'이 있다. 두 가지 상환 방식 중 본인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선택 가능하다.

'마이너스통장 대출'은 필요할 때마다 꺼내 쓸 수 있는 직장인 대상 대출 상품이다. 상품 소개 페이지에서 손쉽게 최저금리 기준으로 하루치 이자 비용을 한눈에 확인 가능하다.

'신용대출 플러스'는 직장인은 물론 개인사업자와 같이 근로소득자가 아닌 경우에도 받을 수 있다. 기존 이용하고 있는 대출이 있더라도 추가한도로 대출 받을 수 있어 중저신용 고객에게 인기가 많은 대출 상품이다.

1월 31일까지 신용대출과 신용대출 플러스 상품을 이용하는 중저신용(KCB 820점 이하) 고객을 위한 두 가지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자 캐시백 이벤트'는 3개월째 이자금을 납부 하면 다음 날 바로 되돌려주는 이벤트다. 추가로 '대출안심플랜'은 고객이 예기치 못한 중대한 사고로 대출금을 갚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을 때 대신 상환해주는 서비스다. 보험료 전액을 케이뱅크가 부담한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2022년 새해를 맞아 차별화된 CSS 모형으로 중저신용 고객을 확대하는 한편 실수요자 중심의 대출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GC녹십자, 창사 이래 첫 분기 매출 6천억 돌파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GC녹십자(006280.KS)가 창립 이래 처음으로 분기 매출 6,000억원을 돌파했다.3일 회사에 따르면 GC녹십자의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6,095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 동기(4,650억원) 대비 31.1%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92억원, 순이익은 181억원을 기록했다. 회사 측은 “알리글로

2

파크 하얏트 서울 코너스톤, 이탈리아 와인 명가 ‘가야’ 프라이빗 와인 디너 개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파크 하얏트 서울의 이탈리안 레스토랑 코너스톤은 오는 11월 13일 단 하루,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 지역의 명문 와이너리 가야(GAJA)와 함께하는 프리미엄 와인 디너를 선보인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와인 디너에서는 이탈리아 최대 그라파 생산자 노니노(Nonino)의 제품도 함께 페어링되어, 깊은 풍미와 향의 조화를 경험할 수 있다

3

남양유업, 제품 포장부터 소비자 교육까지 ‘친환경’ 경영 강화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남양유업이 제품 포장 단계의 친환경 설계부터 어린이 대상 환경 교육까지 현장에서 실행되는 ESG 활동을 전방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3일 밝혔다. 남양유업은 올해 발효유·요거트·커피 등 주력 제품 42종의 포장재가 (사)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의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으면서, 그동안 제품에 직접 적용해 온 친환경 포장 정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