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람그룹, 리사이클링 PC기부 ESG경영 실천

이상원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0 09:57:34
  • -
  • +
  • 인쇄
2017년 첫 나눔 이후 약 1000대 기부
상부상조 문화 기반·실질적 ESG 경영모델 제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유엔이 발표한 ‘2024 글로벌 전자폐기물 모니터링’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연간 6200만 톤의 전자폐기물이 발생하지만, 이 중 재활용되는 비율은 22.3%에 불과하다.


이런 가운데 보람그룹의 ‘사랑의 PC나눔’이 기업 자산을 재활용해 환경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디지털 소외계층의 정보 역량을 높이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 최진보 보람정보산업 이사(가운데)와 직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보람그룹]

보람그룹은 지난 19일 서울 중구 본사에서 ‘사랑의 PC나눔’ 행사를 열고 300여 대의 PC와 주변기기를 한국IT복지진흥원에 무상 기증했다고 20일 밝혔다.

단순한 컴퓨터 부품의 재활용을 넘어 소외계층의 정보격차 해소와 디지털 교육 기회 확대까지 염두에 둔 실천이다.

기증된 PC는 한국IT복지진흥원을 통해 재활용된다. 업사이클링(새활용) 작업을 마친 PC는 국내 보육시설 또는 기초생활수급 가정 등 IT 접근성이 낮은 취약계층에 전달될 예정이다.

보람그룹은 지난 2017년부터 중고 PC를 IT 취약계층에 제공하는 ‘사랑의 PC나눔’을 이어오고 있으며, 이번 기증을 포함한 누적 기부 수량은 약 1000대에 달한다. 단발성 지원이 아닌 지속 가능한 공헌 활동으로 자리매김했다.

뿐만 아니라 보람그룹은 2012년 ‘보람상조 사회봉사단’을 출범한 이후 국내외를 아우르는 사회공헌 활동을 지속해왔다.

이라크 술레마니아 지역의 한방의료봉사, 신장질환자 치료비 지원, 장애인의 날 행사 후원 등은 보람그룹이 그간 의료·복지 분야에서 진행해온 사회공헌 활동의 대표적인 사례다.

환경 분야에서도 사랑의 PC나눔뿐 아니라 길거리 플로깅 등을 통해 실질적이고 생활 친화적인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

아울러 프로탁구단 ‘보람할렐루야’를 통해 청소년 재능기부, 생활체육 후원, 헌혈 캠페인 확산 등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장기 프로젝트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이외에도 지역 소외 계층 대상으로 한 기부금 전달 및 장학금 기탁 등의 활동들이 다수 있다.

보람그룹 관계자는 “이번 나눔은 ESG 경영 실천의 일환으로 자원 선순환과 디지털복지를 동시에 실천할 수 있는 가치있는 활동”이라며 “상조기업 본연의 정신인 상부상조 문화를 기반으로 ESG 경영의 실천모델을 지속적으로 제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신한투자증권, '신한 프리미어 내자녀 금전증여신탁' MTS 가입 서비스 개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부모가 자녀에게 금전을 증여하고, 증여된 재산에 대한 용이한 관리를 돕기 위해 '신한 프리미어 내자녀 금전증여신탁'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모바일로 자녀에게 금전을 증여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으로 신한 SOL증권 앱을 통해 가입할 수 있다. 가입이

2

유업계의 '샤넬' 국내 상륙…폴란드 프리미엄 우유, 가격·품질로 승부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우유업계의 '샤넬'로 불리는 폴란드 바르트 밀크사(社)의 프리미엄 우유 브랜드 ‘뮤(Mu)’와 ‘매도우 스타(Meadow Sta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이들 제품은 과거 유럽 황실과 5성급 이상 호텔, 레스토랑에서만 사용되던 제품으로 유명하다. 바르트 밀크는 국내 식품업체, 유통사, 호텔·레스토랑·카페, 온라인

3

삼성자산운용, 미국 금리인하 투자전략 웹세미나 개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지난밤 미국 금리인하! 오늘밤 Kodex 투자전략’이라는 주제로 긴급 웹세미나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오후 6시에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라이브로 진행되는 이번 웹세미나는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발표 이후 투자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핵심 내용을 신속하게 분석해 전달할 예정이다. FOMC의 기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