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0.25% 인상···제로금리 시대 막내려

황동현 / 기사승인 : 2021-11-25 10:00:17
  • -
  • +
  • 인쇄
코로나19 유행 여전, 가계부채, 물가상승 대응
지난 8월 기준금리 연 0.25% 인상 이후 석달 만

▲ 금융통화위원회가 25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사진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는 모습. [사진=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p(포인트) 인상했다. 지난 8월 기준금리를 연 0.5%에서 0.75%로 올린 이후 석달 만이다. 이로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제로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고 기준금리 1% 대로 진입했다.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해온 한국은행은 자산시장 과열, 가계부채 급증 등의 부작용이 커지자 지난 8월 금리인상을 단행했고 코로나19의 유행이 여전히 거세고 물가상승이 심상치 않자 석달만에 다시 금리인상 카드를 선택했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25%p  올리기로 결정 했다. 한국은행은 작년 5월 기준금리를 연 0.50%p로 낮춘 이후 지난 8월 0.25%p인상했고 이번에 추가금리인상을 단행하면서 기준금리는 1.0%로 올라섰다.

 

한은은 지난해 3월 16일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연 0.75%로 0.5%포인트 내렸다. 당시 인하로 사상 처음 '0%대 금리시대'를 열렸다. 코로나19가 경제위기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한 긴급 조치였다. 지난해 5월에 재차 기준금리를 연 0.75%에서 연 0.5%로 내렸다.

 

코로나19 신규 확산세가 여전히 꺾이지 않고 있고, 연이은 기준금리 인상이 살아나고 있는 경제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는 만큼 변화를 주지 않다가 이번에 금리인상을 단행한 것이다.

 

금통위의 이번 기준금리인상은 예견된 것이다. 물가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 등 이른바 '금융 불균형' 문제를 방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은이 말하는 ‘금융불균형’이란 빚의 급격한 증가, 자산 가격의 과도한 상승, 주식 등 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 확대 등이 동시에 일어나 금융이 불안해지고 실물경제로도 불길이 번질 수 있는 상태를 뜻한다. 장기간 저금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가계빚이 위험수위에 도달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SKT, 오픈AI와 B2C 협력…"국내 통신사 중 유일"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텔레콤은 챗GPT를 개발한 최첨단 인공지능(AI) 연구·개발 기업인 오픈AI의 국내 통신사 유일 기업소비자간거래(B2C) 협력사로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양사의 협력은 지난 10일 공표된 오픈AI의 한국 오피스 출범이 계기가 됐다. 오픈AI의 본격적인 국내 진출은 우리나라가 AI 인프라, 정부의 정책 지원, 국민의 높은 기술

2

드림에이지, 아키텍트 ‘네고의 신’ 영상 공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드림에이지는 아키텍트: 랜드 오브 엑자일(이하, 아키텍트)에서 배우 정이랑과 함께한 ‘네고의 신’ 영상을 16일 오후 7시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전등록 in 아키텍트’ 편은 협상을 소재로 한 ‘네고의 신’ 콘셉트로 진행된다. 공식 CM으로 활약 중인 윤수빈·함예진 아나운서가 배우 정이랑과 함께 아키텍트 개발진을 찾아 사전등

3

네이버, LG유플러스와 IP 영상화 협력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네이버는 LG유플러스의 콘텐츠 제작 스튜디오 STUDIO X+U와 협업해 웹툰 지식재산권(IP) 기반의 숏드라마를 공개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업에서는 ‘막장 악녀’ ‘자판귀’ ‘자매전쟁’ ‘스퍼맨’ 등 네이버웹툰에서 평균 평점 9.9를 기록한 인기 IP 4편이 숏드라마로 재탄생한다. 기존 웹툰 원작을 기반으로 드라마화된 작품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