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파르나스, 스시 장인 '카네사카 신지' 초청 미식 행사 선봬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4-11-04 10:46:42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파르나스호텔(대표이사 여인창)이 운영하는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이하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 일본을 대표하는 스시 장인이자 세계적인 명성을 보유한 ‘카네사카 신지(Kanesaka Shinji)’ 셰프가 찾아온다.

 

정통 교토식 가이세키 요리와 ‘스시 카네사카’의 고품격 스시 오마카세를 한 공간에서 선보이는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의 새로운 일식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 ‘히노츠키’의 오픈을 기념해 진행되는 프로모션으로, 11월 21일부터 23일 단 3일 간 진행되는 독보적인 미식 행사로 마련됐다.


▲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스시 장인 ‘카네사카 신지’ 셰프 초청 특별 미식 행사 진행

 

카네사카 신지 셰프 초청 프로모션에 대한 소식이 SNS를 통해 알려지자 벌써부터 고객들의 문의가 빗발치고 있다. 국내 미식가들 사이에서도 명성이 높은 세계적인 스시 대가로, 그의 스시를 맛볼 목적 하나로 일본 여행을 계획하는 손님들이 많을 정도인 카네사카 신지 셰프가 직접 진행하는 이번 미식 행사는 국내 호텔에서는 최초로 진행하는 프로모션이자 국내에서 카네사카 신지 셰프의 스시를 경험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인만큼 예약이 조기에 마감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1월 21일 오픈 예정인 ‘히노츠키’는 국내에서 접하기 어려운 정통 교토식 가이세키 요리와 ‘스시 카네사카’의 스시 오마카세 본연의 매력을 오롯이 경험할 수 있는 레스토랑으로, 가이세키 요리를 여유롭게 즐길 수 있는 별실과 가이세키 오마카세 카운터 공간이 별도로 마련됐으며, ‘스시 카네사카’의 스시 오마카세를 즐길 수 있는 프라이빗한 스시 카운터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일본 최고의 스시 명가 중 하나로 꼽히는 '스시 카네사카'는 카네사카 신지 셰프가 2000년 도쿄의 중심인 긴자에 첫 레스토랑을 오픈한 이래, 2008년부터 현재까지 미쉐린 2스타를 유지하며 전통적인 에도마에 스시를 현대적 감각과 결합한 고품격 다이닝 경험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스시 카네사카’는 일본 외에도 영국, 싱가포르, 마카오 등 전 세계 12개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최초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히노츠키’에서 선보이게 된다.
 

카네사카 신지 셰프 초청 프로모션은 11월 11일 오전 10시부터 ‘히노츠키’를 통해 예약할 수 있으며, 일일 선착순 24명 한정으로 진행된다. 점심 1부와 저녁 2부제로 운영되며, 가격은 점심과 저녁 모두 1인당 50만원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