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늬만 '엔카인증' 커뮤니티 각지서 '불신 확산'
[메가경제=정호 기자] 김상범 엔카 대표가 깜깜이 매물을 판매했다는 의혹으로 경찰 고소까지 당했다. 이번 사례로 수차례 사고 차량을 무사고로 위장 판매했다는 의혹을 받아 온 엔카가 다시 한번 여론의 뭇매를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
10일 한 포털사이트 중고차 동호회에는 무사고 차량을 구매했지만 뒤늦게 사고차라는 사실을 알게된 사연이 공유됐다. 이에따라 해당 이용자는 엔카를 허위광고 및 상품표시법 위반으로 김상범 엔카닷컴 대표를 상대로 형사고발했다. 이 소식이 알려지면서 엔카의 점검 서비스 인증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
![]() |
| ▲ <사진=엔카닷컴> |
해당 이용자는 "엔카에서 '엔카인증무사고' 차량을 구매했는데 3개월 뒤 정기점검 차 방문한 기아센터에서 '사고차'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좌우 사이드멤버가 교환돼 있음을 확인하고 엔카, 딜러, 성능장과 협상 끝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이 이용자는 "합의를 했지만 제시한 금액에도 한참 못 미치고, 휴무일에 운전하며 쓴 시간과 비용을 감안하면 겨우 맞출 수준"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아무래도 기업이다 보니 개인이 고발한 사례도 거의 없고 설령 있다해도 힘들 거 알았지만 그래도 한 번 해보자는 생각이 들었다"며 "엔카를 허위광고 및 표시광고법 위반 혐의로 형사 고발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해당 사건은 송치되지 않았다. 경찰은 제휴 성능장의 오진으로 고소인이 사고 차량을 무사고 차량으로 인식한 것으로 봤다. 엔카는 제휴 성능장 점검 결과를 매뉴얼에 따라 입력했을 뿐, 허위·과장 광고 고의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광고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올리는 중개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고의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해당 사건은 일단락됐지만, 엔카를 향한 소비자 신뢰는 더 하락했다. 한 커뮤니티에는 "매입 단계에서 몰랐다는 것이 납득이 되지 않는다", "온갖 방법으로 허위 매물을 판매한다", "엔카인증 딱지는 아무 의미 없다" 등 반응이 쇄도했다.
거듭되는 엔카의 깜깜이 매물 피해는 소비자 피해로 직결되며 점검 서비스에 대한 불신을 키워왔다. 전면에 내세우는 '엔카진단'은 외관·내관·등화장치 등 차량 전반에 대한 철저한 점검을 내세운 서비스다. 실제로는 침수와 사고 차량이 무사고 차량으로 등록되는 등 허점이 지적되는 상황이다.
2021년 엔카닷컴은 자체 점검을 통해 2만1363대의 차량 중 2132대(9.98%)가 성능기록부·보험 이력이 발견되지 않아 도마 위에 올랐다. 2023년에도 사고 의심 차량이 무사고 매물로 올라왔으며, 2022년에도 침수 차량을 무사고 차량으로 둔갑해 판매한 사례가 있었다.
한 커뮤니티에서는 엔카의 진단을 확인하는 질문이 올라왔다. 해당 커뮤니티 이용자들은 "중고차에 믿을만한 것 따윈 없다고 보며 알아서 잘 판단해야 한다", "엔카가 직접 하는 게 아닌 제휴 성능장에서 점검을 하며 책임에서 피한다", "별로 믿을만한 곳이 없으며 중고차는 복불복"이라는 반응이 나왔다.
거듭된 논란은 엔카 점검 시스템의 근본적 재점검과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한 실질적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엔카 측은 이런 취재 문의에 대해 별 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