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보증기금, 세계은행·인도 정부와 녹색금융 심층 논의

황동현 / 기사승인 : 2023-03-15 12:11:51
  • -
  • +
  • 인쇄
한국방문 첫 일정 신보 찾아
탄소중립 실현 위해 다양한 국가,국제기구와 지속 협력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신용보증기금(신보)이 세계은행-인도 정부와 ‘녹색금융 노하우’를 공유했다. 신보는 글로벌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다양한 국가, 국제기구와 지속으로 협력해 간다는 계획이다.


신용보증기금(이사장 최원목)은 지난 13일, 14일 양일간 신보 대구 본사를 방문한 세계은행(World Bank) 및 인도 대표단과 함께 신보의 녹색금융 제도를 공유하고 지속가능한 녹색금융 실천 방안을 논의했다고 15일 밝혔다. 

 

▲ 최원목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왼쪽에서 아홉번째)이 지난 14일 세계은행 및 인도 대표단과 환담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신용보증기금 제공]


아티시 쿠마르 싱(Ateesh Kumar Singh) 인도 중소기업부 차관보 등 인도 정부 관계자 7명과 프라미타 모니 센굽타(Pramita Moni SenGupta) 선임금융전문가를 포함한 세계은행 관계자 2명으로 구성된 대표단은 5일간의 한국 방문일정 중 첫 일정으로 신보를 찾았다.

이번 방문은 세계 7위의 기후위기 국가인 인도의 녹색금융 구축을 위해 세계은행이 추진 중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한국의 우수한 신용보증제도와 녹색금융을 벤치마킹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대표단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시행에 따른 기후변화 대응책, 녹색금융 평가모형, 녹색 채권 발행 등 신보의 녹색금융제도와 평가시스템 등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지속가능한 금융 지원 및 녹색금융 실천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이 이어졌다.

아티시 쿠마르 싱 인도 중소기업부 차관보는 “한국 정부의 탄소중립정책과 중소기업의 녹색성장 지원을 위한 신보의 다양한 제도를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다”며 “인도의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녹색금융 체계 구축과 제도 마련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최원목 이사장은 “이번 대표단 방문으로 한국과 신보의 선진 녹색금융 제도를 세계에 널리 알리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신보는 글로벌 탄소중립 실천과 녹색금융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다양한 국가 및 글로벌 기관과 꾸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신보는 아시아 신용보증기관을 대표해 2015년 ‘공적신용보증제도의 준칙’, 2022년 ‘공적신용보증제도의 녹색화 가이드라인’ 등 세계은행의 굵직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이후에도 세계은행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다. 또한, 인도와도 지난 2021년 ‘코로나19 대응 성과’를 주제로 한 웨비나(webinar)에서 신보의 보증지원 체계와 리스크관리 시스템을 공유한 바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NOL,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 참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놀유니버스가 운영하는 NOL이 연말 여행 수요에 맞춰 국내여행 혜택을 강화해 지역 관광 회복에 나선다 NOL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2025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 겨울편에 참여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프로모션은 국내여행 활성화를 위해 연중 진행된 민관협력 캠페인으로 올해 마지막 시즌을 맞이했다. NOL은

2

신세계백화점, CJ ENM 협업 ‘씨뮤 산타즈의 선물공장’ 팝업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백화점이 연말을 맞아 CJ ENM과 팝업을 선보인다. 오는 16일까지 신세계 강남점 오픈스테이지에서는 신세계 자체 캐릭터 푸빌라와 함께 뮤지컬 물랑루즈!의 ‘사틴’, 킹키부츠의 ‘롤라’, 비틀쥬스의 ‘비틀쥬스’가 산타가 되어 특별한 선물을 소개하는 <씨뮤 산타즈의 선물공장> 팝업 스토어가 펼쳐진다. 이번 팝업에서는

3

한촌설렁탕, '네이버 넾다세일 기획전' 열어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한촌설렁탕이 네이버 '넾다세일 기획전'에 첫 참여해 11월 11일(화)까지 국탕류 시그니처 간편식 라인업을 최대 60% 할인된 가격에 선보인다. 고물가 추세가 지속되면서 '한 끼를 먹더라도 제대로 즐기려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가격 부담은 줄이되, 맛과 영양, 품질을 모두 챙기는 '합리적 프리미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