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 '대체 단백질' 리포트 발간···"전기차만큼 고성장"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09-08 11:12:57
  • -
  • +
  • 인쇄
대체 단백질 시장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50% 달성 가능성有
탄소중립·식량안보·MZ세대 흐름 속 구조적 성장 예상

미래에셋증권이 전기차만큼의 고성장을 보여줄 ‘대체 단백질’ 리포트를 발간했다. 대체 단백질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50% 달성이 가능하고, 탄소중립·식량안보·MZ세대 흐름 속 구조적 성장이 예상된다는 내용이 담겼다.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는 인구 구조와 식량안보 문제, MZ세대의 소비문화 등 구조적 변화에 따라 폭발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대체 단백질 산업을 집중 분석한 테마리포트를 내놓았다고 8일 밝혔다.

 

▲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는 폭발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대체 단백질 산업을 집중 분석한 테마리포트를 내놓았다. [이미지=미래에셋증권 제공]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 CES 2022에서 이례적으로 푸드테크(Food Tech)가 5대 기술 트렌드 중 하나로 선정됐다. 임파서블푸드가 식물성 패티로 이목을 끌었던 CES2020에 이어 CES2022에는 마이코 테크놀로지가 버섯균으로 만든 대체 육류로 다시 한번 주목을 받았다. 이처럼 대체 단백질은 앞으로 인류의 먹거리를 책임질 중대한 기술로서 자리매김할 것으로 관측된다.

대체 단백질 산업의 테슬라는 ‘임파서블푸드’라고 판단된다. 주력 제품인 식물성 햄버거 패티에 헴 성분을 첨가해 타 식물성 고기 제품보다 월등한 맛과 식감을 구사하고 있으며, 원재료로 GMO 대두를 사용하고 있어 원가 경쟁력도 높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대체 단백질 업체 중 가장 높은 특허 수를 보유하고 있어 기술적 해자를 토대로 시장 지배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임파서블푸드는 당장은 비상장사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개인투자자 입장에서 가장 매력적인 투자처로는 글로벌 1위 귀리음료 제조업체인 ‘오틀리’를 꼽았다. 몇 안 되는 상장사이고 브랜드력과 마케팅 역량을 필두로 스타벅스, 블루보틀 등 강력한 파트너십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우창 미래에셋증권 수석연구원은 "대체 단백질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 (CAGR) 50%를 기록할 것"이라며, "탄소중립과 식량안보에 따라 대체 단백질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며, 오는 2030년까지 대체 단백질 시장 침투율이 12%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대체 단백질 시장 침투율은 0.4%로 전기차 보급 초창기인 2011년 수준이다"고 밝혔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농·축협 조합 "농협, 홈플러스 인수 '긍정적'"
[메가경제=정호 기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전국 지역 농·축협 조합 166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다수의 조합이 농협경제지주의 홈플러스 인수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협유통과 하나로유통의 연간 적자 규모를 들며 홈플러스 인수에 대해 부담감을 드러낸 농협중앙회의 입장과는 상반돼 더

2

스마일게이트, 한국회계정보학회 ‘투명경영대상’ 수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스마일게이트는 한국회계정보학회가 선정하는 ‘투명경영대상’을 수상했다고 3일 밝혔다.투명경영대상은 한국회계정보학회가 회계 투명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윤리·상생 경영을 실천하는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에 수여하는 상이다.윤리경영, 재무건전성, 기업의 투명경영 정책, 이해관계자 경영, 규제준수 및 위험관리 활동 투명공시 등 기업의 6가지 부

3

삼성에피스홀딩스 공식 출범…“바이오시밀러 넘어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인적분할을 통해 신설된 바이오 투자 지주회사 삼성에피스홀딩스가 지난 1일 공식 출범하며 본격적인 경영에 돌입했다.삼성에피스홀딩스는 바이오시밀러 전문 기업 삼성바이오에피스를 100% 자회사로 두고, 별도의 신설 자회사를 설립해 차세대 바이오 기술 플랫폼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부터 상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