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그룹 71곳, "세무당국 추적 피하자"...'조세회피' 의심 해외법인 735개 운영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6-08 12:05:14
  • -
  • +
  • 인쇄
해외법인 수 삼성 594개로 가장 많아...한화, 현대차, CJ 순
군부 쿠데타 유혈사태 빚은 '미얀마'서 포스코·CJ 5개 운영

국내 71개 기업집단(그룹)이 운영하는 해외법인 가운데 조세회피처로 의심되는 곳이 15.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이 글로벌 법인세율 하한을 최소 15%로 낮추는 데 합의한 만큼 향후 국내 기업들의 해외법인 운영에 영향을 미칠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진다. 

 

▲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이 지난 5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회의하기 앞서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8일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소장 오일선)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올해 자산 5조 원 이상으로 지정한 71개 그룹을 대상으로 해외 계열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총 4703개 해외법인 가운데 735개가 조세회피지로 의심되는 곳에 세워진 것으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 중 해외법인이 가장 많은 그룹은 삼성(594)으로, 한화(447), 현대차(379), CJ(373), SK(367), LG(360), 롯데(220) 등이 그 뒤를 따랐다.

이번 조사에서는 싱가포르를 비롯해 홍콩,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조세회피국’으로 알려진 곳에 세워진 해외법인 수가 614개(13.1%)로 파악됐다.

특히, 버진 아일랜드, 파나마, 케이먼군도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서 ‘조세피난처’로 거론한 지역에 설립된 해외법인 수가 121개(2.6%)로 조사됐다.

최근 군부 쿠데타로 유혈 사태가 이어지고 있는 미얀마에도 24개의 해외법인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자료=한국CXO연구소


그룹별로는 포스코와 CJ가 미얀마에 각각 5개 법인을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뒤이어 SK·롯데·농협·LS·하림 등이 각 2개, 현대차·LG·한진·이랜드 등이 각 1개씩 법인을 운영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포스코는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포스포강판 등 계열사가 건설, 곡물도정, 관광숙박시설 등 목적으로 미얀마에 해외법인을 두고 있었다.

포스코강판은 지난 4월 중순께 미얀마 법인의 파트너사인 군부기업 미얀마경제지주사(MEHL)와 합작관계를 종료한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CJ도 CJ제일제당과 에스지생활안전 등 계열사가 동·식물성 유지 및 고무제품 제조 등을 위해 미얀마 현지에 법인을 두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다른 그룹에서도 미얀마와의 합작관계를 끝내거나 현지에서 철수하는 사례가 나타날지 이목이 집중된다.
 

▲ 자료=한국CXO연구소


국가별로는 미국(885)이 전체 비중의 18.8%를 차지하며 국내 그룹이 가장 많은 법인을 세운 나라로 집계됐다. 이 중 삼성·현대차·SK·LG 등 4대 그룹이 운영하는 법인 수는 총 268곳으로 71개 그룹 가운데 30%를 넘었다.

미국에 가장 많은 법인을 두고 있는 그룹은 한화(154)로 조사됐다. SK(78), 삼성(77), 현대차(74)가 설립한 법인 수보다 배(倍) 정도 많다.

중국(874)은 18.6%로 미국과 큰 차이가 없다. 별도로 조사한 홍콩 법인 163곳까지 중국으로 합쳐 계산하면 미국과 순위가 바뀐다.

국내 4대 그룹이 중국(홍콩 제외)에 진출한 법인 수는 317곳(36.3%)으로 미국보다 많았으며, SK(92), LG(80), 현대차(73), 삼성(72) 순으로 나타났다. 

 

▲ 자료=한국CXO연구소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 번째로 해외법인을 많이 세운 나라는 베트남(238)인 것으로 조사됐다. 베트남은 일본(194), 싱가포르(167), 인도네시아(160) 등을 큰 차이로 제쳤다.

국내 그룹 중 베트남에 공을 많이 들이고 있는 곳은 CJ(32)와 롯데(29)로, 삼성(19), LG·한화(14)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법인을 운영 중이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국내 대기업 중에는 세금을 줄이고 국내 세무당국의 추적을 어렵게 하기 위해 조세회피성이 강한 3~4개 이상 국가를 경위하며 해외법인을 서로 지배하고 있는 곳도 여럿 있다”며 “최근 7개국이 글로벌 최저 법인세율을 15%로 정하는 방안이 향후 구체화되면 국내 대기업이 조세피난처 등에 해외 법인을 세우는 과거의 행태는 다소 줄어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GC녹십자, 창사 이래 첫 분기 매출 6천억 돌파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GC녹십자(006280.KS)가 창립 이래 처음으로 분기 매출 6,000억원을 돌파했다.3일 회사에 따르면 GC녹십자의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6,095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 동기(4,650억원) 대비 31.1%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92억원, 순이익은 181억원을 기록했다. 회사 측은 “알리글로

2

파크 하얏트 서울 코너스톤, 이탈리아 와인 명가 ‘가야’ 프라이빗 와인 디너 개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파크 하얏트 서울의 이탈리안 레스토랑 코너스톤은 오는 11월 13일 단 하루,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 지역의 명문 와이너리 가야(GAJA)와 함께하는 프리미엄 와인 디너를 선보인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와인 디너에서는 이탈리아 최대 그라파 생산자 노니노(Nonino)의 제품도 함께 페어링되어, 깊은 풍미와 향의 조화를 경험할 수 있다

3

남양유업, 제품 포장부터 소비자 교육까지 ‘친환경’ 경영 강화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남양유업이 제품 포장 단계의 친환경 설계부터 어린이 대상 환경 교육까지 현장에서 실행되는 ESG 활동을 전방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3일 밝혔다. 남양유업은 올해 발효유·요거트·커피 등 주력 제품 42종의 포장재가 (사)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의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으면서, 그동안 제품에 직접 적용해 온 친환경 포장 정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