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코리아 조사, 2월 대학 졸업자 5명중 3명 ‘아직 취업 준비중’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07-05 13:51:18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올해 2월 대학 졸업자들 중 상당수가 아직 취업에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메타 커리어 플랫폼 잡코리아가 2024년 2월 대학 졸업자 674명을 대상으로 <상반기 취업 성공 현황>을 조사한 결과, 설문 참가자들 중 ‘현재 취업에 성공했거나 곧 입사 확정된 곳이 있다’고 답한 이들은 39.8%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60.2%는 ‘아직 구직활동 중’이라고 답했다.

 

잡코리아는 아직 취업에 성공하지 못한 이들에게 하반기 취업 계획이 무엇인지 질문했다. 그러자 취업 눈높이를 낮추기 보다는 원하는 기업에 합격할 때까지 구직활동을 계속하려는 이들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사진=잡코리아>

 

‘눈높이를 낮춰 당장 어디든 합격하면 입사하겠다’고 밝힌 이들은 17.7%에 그쳤고, ‘올 해까지는 원하는 곳에 합격할 때까지 계속 구직활동을 하겠다’고 답한 이들이 41.1%였다. 또, ‘올해가 지나더라도 원하는 곳에 합격할 때까지 취업활동을 계속 할 것이다’고 답한 이들도 41.1%를 차지했다.

 

한편, 미취업자중 약 40%는 자발적 취업준비생인 것으로 드러났다. 아직 구직활동 중인 취업준비생들 중에 37.7%가 최종 합격한 회사가 있음에도 입사를 포기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것. 또 취업에 성공한 이들 중에서도 57.5%가 최종 합격한 회사에 입사하지 않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이 입사를 포기한 이유는 ‘처우 불만족’이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입사를 포기한 이들 2명중 1명이 △합격한 기업의 연봉 수준 등 처우가 마음에 들지 않아서(51.5%)를 꼽았다. 이 외에도 △취업을 목표로 하는 다른 기업에 지원하기 위해(20.8%) △면접 과정 등 해당 기업에 실망한 부분이 있어서(12.7%) △기업 평판, 리뷰 등이 좋지 않아서(7.5%) △합격한 기업의 발전 가능성이 좋아 보이지 않아서(4.9%) 등을 이유로 합격한 회사에 입사를 포기했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신입직 구직자들이 입사할 기업을 고를 때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조건은 무엇일까? 복수응답으로 꼽게 한 결과, '연봉'을 응답률 51.9%로 1순위로 선택했다. 다음으로 ‘출퇴근 거리 및 시간’을 포기할 수 없다는 의견이 응답률 40.7%로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정규직 여부 등 고용 형태(37.8%) △기업 규모(23.7%) △기업 소재, 위치(11.9%) △근무 환경(9.3%) 순이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벨킨, Qi2 25W 고속 무선 충전 솔루션 공개…고속 충전의 미래 개척
[메가경제=정호 기자] 글로벌 모바일 액세서리 브랜드 벨킨이 22일 더 플라자 호텔 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무선 충전 시장의 비전과 기술 리더십을 제시하며, 세계 최초 Qi2 25W 인증을 획득한 차세대 무선 충전 솔루션 ‘25W UltraCharge’ 시리즈 3종을 공개했다. 벨킨은 전 세계 누적 10억 개 이상의 제품 판매와 미국 모바일 파워 액세서

2

쿠팡, 전남도청·상인연합회와 MOU…전통시장 디지털 전환 협력
[메가경제=정호 기자] 쿠팡이 전라남도청, 전라남도상인연합회와 손잡고 전통시장 상인의 디지털 전환과 판로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22일 오후 1시 30분, 전라남도청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민병기 쿠팡 정책협력실 부사장, 강위원 전라남도 경제부지사, 한승주 전남상인연합회장이 참석한다. 이번 협약은 전남 지역 전통시장 상인의 온라인 진출을 지

3

글램팜, 자사몰 리뉴얼 편의성 극대화…특별 프로모션 진행
[메가경제=정호 기자] 언일전자의 헤어기기 브랜드 글램팜(GLAMPALM)이 최근 사용자 편의성 극대화를 위해 온라인 자사몰을 전면 리뉴얼하고 이를 기념해 회원 대상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글램팜은 이번 리뉴얼을 통해 소비자가 직관적으로 상품을 검색할 수 있도록 사이트 구조와 화면 구성을 개선하고, 한층 세련된 디자인으로 시각적 만족도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