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고객 잡아라...통신사 '키즈폰' 경쟁 치열

신승민 기자 / 기사승인 : 2024-12-31 14:27:31
  • -
  • +
  • 인쇄
포켓몬·무너 캐릭터 IP로 아이들 눈길 잡아
안심 케어 기능으로 자녀와 부모 모두 겨냥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연말과 새해를 맞아 이동통신사들이 잇따라 키즈폰을 출시하며 미래 시장 선점에 나섰다. 각 사는 캐릭터를 활용해 어린이 고객의 관심을 끌고, 자녀 안심 기능으로 부모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ZEM폰 포켓몬 에디션 3 [사진=SK텔레콤]

 

3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지난 27일 어린이 맞춤형 LTE 스마트폰 ‘ZEM폰 포켓몬에디션 3’를 출시했다. SKT는 지난해에 이어 아이들이 좋아하는 포켓몬스터 IP를 내세웠다. 출고가는 32만 6,700원이며, 이 제품은 5.8인치 디스플레이와 167g의 가벼운 무게로 어린이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블루라이트 테스트를 완료해 자녀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으며, 무분별한 광고 전화와 스팸 메시지를 차단하고, 연락처에 등록되지 않은 번호의 수신을 막는 기능도 탑재했다.

 

또한, SK텔레콤의 자녀 스마트폰 안심 서비스 앱 ‘ZEM’이 기본으로 탑재됐다. ZEM 앱은 스마트폰 사용 시간 관리, 아이의 실시간 위치 확인, 유해 콘텐츠 차단, 도보 중 사용 방지 등 어린이가 안전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제품 패키지에는 2단형 포켓몬 서랍, 미니 가방, 폰 스트랩, 야광 스마트톡, 스티커, 포토 카드 홀더 등 어린이들이 좋아할 만한 아이템이 포함됐다.

 

▲U+키즈폰 무너 에디션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지난 19일 자사 IP 캐릭터 ‘무너’를 활용한 ‘U+키즈폰 무너 에디션’을 출시했다. 출고가는 36만 5200원이며, 삼성 갤럭시 A16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돼 어린이가 사용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AI안심케어’ 기능을 통해 자녀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유해 콘텐츠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AI 학습놀이’를 통해 자사의 메타버스 플랫폼 ‘키즈토피아’를 활용,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외에도 실시간 자녀 위치 확인, 이동 경로 추적 등 아동 보호 기능이 포함돼 있다.

 

제품 패키지에는 전용 케이스, 가방, 줄넘기, 스마트톡, 액정보호필름 등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아이템들이 구성됐다.

 

한편, KT도 자녀와 부모 고객을 겨냥한 키즈폰을 내년 1월 중 출시할 예정이다. KT는 지난해 산리오의 시나모롤 캐릭터 IP를 활용한 키즈폰을 선보인 바 있어 올해는 어떤 캐릭터를 활용할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