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훈 서울시의원, 오세훈 시장으로부터 '강서구 에너지 복지' 약속 받아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4-09-02 14:46:28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경훈 의원(국민의힘, 강서5)이 지난 29일 제326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서남 집단에너지시설 2단계 건설 사업’이 지속적으로 미뤄지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강서구 주민을 위한 에너지 복지 정책에 차질이 없도록 당부했다.


서남 2단계 건설은 강서 마곡지구 주택 7만 세대와 업무시설 약 400곳의 열 공급을 위해 열병합발전소(CHP) 1기와 열전용보일러(PLB) 1기를 짓는 사업으로 2017년 12월 총사업비 3,528억원으로 시작됐다. 이후 물가지수 현행화와 환율 증가 등을 이유로 해당 사업의 총사업비는 2021년 4,683억원, 2022년 5,291억원으로 점차 증액됐다. 

 

▲ 김경훈 서울시의원, 오세훈 시장으로부터 '강서구 에너지 복지' 약속 받아 [사진=김경훈의원실]

이 과정에서 총 여섯 차례 유찰이 있었고 수의계약으로 협상을 진행하던 업체도 공사비 상승을 이유로 참여를 철회하자 서울시는 서울연구원의 타당성 재조사 용역을 통해 시 재정 투입이 아닌 외부 자원 활용으로 서남 2단계 사업의 방향을 선회했다. 현재 기존의 사업 주체였던 서울에너지공사는 이에 대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 의원은 “타당성 재조사 용역을 통해 총사업비가 6,971억원이 됐다”며 “해당 금액은 발전 용량 500MW급인 안동2호기 및 구미천연가스 건설 사업비에 맞먹는 어마어마한 수준으로 285MW급으로 건설 예정에 있는 서남 2단계 사업에 비춰 봤을 때 총사업비 부풀리기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사업 주체 변경 및 총사업비 과다 산정으로 인한 금액 부담의 결과가 전부 강서구 주민에게 돌아오는 것은 아닌지 심히 염려스럽다”며 “에너지공사가 행하던 임대주택 요금제 등 공익을 위한 차별적 요금제 시행이 축소 및 중단되지 않도록 신경써 달라”고 강력하게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 “열에너지 정책은 특히 차상위 계층 가구, 저소득층 어르신, 미성년 자녀 가구 등의 생존권이 달린 필수 불가결한 문제”라며 “강서구 주민분들의 에너지 기본권 확보를 위해 서울시와 서울에너지공사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및 해당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바란다”고 역설했다.

오세훈 시장은 답변에서 “과거 열병합발전소 부지 변경 건으로 인한 강서구 주민분들의 고충을 잘 알고 있다”며 “강서구 주민을 위한 에너지 복지 시스템이 축소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답변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건국대 클러스터, 시니어 스마트시티 모델로 실버산업 진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건국대 클러스터가 의료·교육·주거를 아우르는 통합형 시니어 스마트시티 모델을 선보이며 본격적인 실버산업 진출에 나선다. 건국대병원, 건국대, 더 클래식 500은 오는 9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서울 코엑스 C홀에서 열리는 스마트라이프위크 2025(SLW 2025)에 공동 참여해 'KONKUK-One Health SMAR

2

레드페이스, 가을 트레킹 맞춤형 기능성 워킹화 2종 공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본격적인 트레킹 계절인 가을이 오고 있다. 이에 발맞춰 정통 아웃도어 브랜드 레드페이스가 발 편한 기능성으로 나들이부터 트레킹까지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워킹화 2종을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레드페이스가 출시한 콘트라 벤트 노바 워킹화와 콘트라 셀 코어 워킹화는 모두 갑피에 콘트라텍스 엑스투오 프로를 적용했다. 이는 브랜드가 자체

3

아이파크, K-브랜드지수 아파트 브랜드 부문 1위...힐스테이트·푸르지오 뒤이어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빅데이터 평가 기관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K-브랜드지수' 아파트 브랜드 부문 1위에 아이파크가 선정됐다고 11일 발표했다. K-브랜드지수는 아시아브랜드연구소가 국내외 연구진과 협력해 개발한 빅데이터 시스템으로, 기존의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과 달리 후보 표본 추출부터 인덱스 선별까지 분야별 자문위원단의 검증을 토대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