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더 이상 헐값에 못 넘겨"...KT에 콘텐츠 사용료 열 배 올려달라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06-22 17:14:31
  • -
  • +
  • 인쇄
CJ ENM, KT에 1000% 인상률 요구…“기존 콘텐츠 헐값에 공급”
KT, 실사용자 수 등 데이터 제공 가능...CJ ENM측과 협상 지속

CJ ENM이 LG유플러스에 이어 KT와도 공격적인 자세로 콘텐츠 사용료 협상에 나서면서 결과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KT가 야심차게 준비해온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OTT) ‘시즌(Seezn)’이 내달 1일 독립법인 출범을 앞두고 있어 CJ ENM이 요구하는 사용료 1000% 인상안을 수용할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진다.

 
▲ 각사 CI

 

22일 업계에 따르면, KT는 시즌 분사 이후 스튜디오지니를 중심으로 KT 그룹의 콘텐츠 역량을 집중시킬 전망이다. 시즌은 출범 초기 가입자 유치를 위해 앱 개편을 시작으로 대대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할 것으로 업계에서는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CJ ENM이 콘텐츠 사용료 인상율로 전년 대비 1000%를 제시하자 난처한 기색을 보이고 있다.


앞서 LG유플러스의 모바일 OTT 'U+모바일tv'는 협상이 결렬된 이후 지난 12일부터 CJ ENM 실시간 콘텐츠 제공이 중단되는 '블랙아웃(black out, 송출 중단)'을 겪고 있다.

 

LG유플러스 측은 CJ ENM이 요구한 전년 대비 175%의 사용료 인상율이 과도하면서 협상 결렬에 따른 이용자 불편의 책임이 CJ ENM 측에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에 CJ ENM 측은 LG유플러스가 서비스 이용자 수 등 기본적인 데이터조차 공유하지 않아 협상이 결렬됐다며 반박했다.


KT 역시 1년 만에 사용료를 열 배나 올리는 건 지나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LG유플러스와 달리, OTT 이용자 수 등 기본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면서 CJ ENM에 계속 협상을 이어갈 의사를 보이고 있다.


CJ ENM 역시 KT와 관련한 블랙아웃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은 상황이다.

CJ ENM 관계자는 “언론을 통해 알려진 1000% 인상률은 기존 콘텐츠가 그만큼 헐값에 공급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며 “KT 측에서 실사용자 수 자료를 제공해줄 의의가 있다고 밝혀 현재 협상이 계속 진행 중인 상태”라고 말했다.

KT 관계자는 이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협상에 임하고 있으며 이외에는 아직 협상이 진행 중이므로 밝힐 수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영섭 KT 대표 "전 고객 대상 무료 유심 교체 보상 진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KT가 전체 가입자 대상 무단 소액결제 및 불법 소형 기지국(펨토셀) 접속 사고 보상을 위해 전체 가입자 대상으로 무료 유심 교체를 진행한다. 김영섭 KT 대표는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종합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전 고객 대상 유심을 교체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qu

2

NS홈쇼핑,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 참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NS홈쇼핑이 오는 11월 1일(토)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푸드위크코리아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에 참가해 협력사를 위한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 ‘서울국제식품산업전’은 농림축산식품부, 한국식품연구원, 한국농업기술진흥원,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 서울시, 강남구 등이 후원하고 코엑스가 주최하는

3

김상현 롯데쇼핑 부회장 "디지털 전환은 고객 경험 혁신 도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김상현 롯데그룹 유통 총괄대표 부회장은 29일 “디지털 전환은 기술이 아니라 고객 경험을 새롭게 설계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김 부회장은 29일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디지털 전환과 전자상거래 효율화’ 세션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아시아 소비자들이 국경을 넘어 다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