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제페토'에 메타버스 야구장 오픈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6-23 23:55:40
  • -
  • +
  • 인쇄

KT(대표 구현모)가 네이버제트 플랫폼 '제페토(ZEPETO)'에 메타버스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를 오픈했다고 23일 밝혔다.

메타버스 내 만들어진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는 코로나로 인해 직접 야구장에 가지 않고도 선수들과 만나고 소통하는 곳이다. 현재 관중이 30%로 제한된 상황에서 시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든지 야구장을 방문할 수 있다는 것이 이 공간의 장점이다. 

 

▲ kt 위즈 황재균 선수가 경기 시작 전 메타버스를 활용해 라이브 팬미팅에 참여하고 있는 모습 [사진=KT 제공]

 

 

KT는 ‘kt wiz’ 홈경기 시 선수들이 직접 참여하는 라이브 팬미팅을 비롯해 응원가, 응원 동작 배우기 등 새로운 경험을 메타버스 공간에 구축된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 제공한다. 팬들은 본인들의 얼굴을 아바타로 제작해 메타버스 공간에서 한 본인의 활동을 이미지 동영상 등 콘텐츠로 제작해 SNS에 알릴 수 있다.

kt wiz의 메타버스 공간은 평소 출입이 제한된 ▲락커룸 ▲불펜 ▲응원단상 3개의 존(MAP)으로 구성됐으며 ▲아바타 ▲유니폼 등 총 15종 아이템 구매 ▲비디오 부스 등 공간 체험 외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다.

지난 22일 메타버스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 진행된 라이브 팬 미팅에는 kt wiz의 황재균 선수가 직접 참여했다. 실제 오프라인 팬미팅과 동일하게 팬 미팅에 참여한 팬들은 황재균 선수와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좋아하는 선수의 락커 룸 앞에서 사진 촬영을 하고, 불펜 연습 공간에서 실제 선수들의 투구 모습을 재연해 보는 등 일일 선수 체험도 즐겼다.

황재균 선수는 “코로나로 인해 더욱더 제한된 팬과의 소통이 이렇게 코로나 걱정 없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이뤄질 수 있어서 좋았다”고 소감을 전했다.

박현진 KT 커스터머전략본부장(전무)은 “스포츠 팬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메타버스를 활용한 팬과 선수의 소통 공간을 마련했다”며 “KT는 신기술과 트렌드를 접목한 색다른 스포츠 마케팅으로 고객과 공감할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KT는 향후 케이티 위즈 파크 메타버스 공간에 라이브 응원, 가상공간 커뮤니티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해 프로야구를 즐기는 새로운 트렌드를 선도할 예정이다. 메타버스에 있는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는 제페토 앱 다운로드 후 홈 화면에서 kt wiz 검색해 맵에 접속하는 과정으로 만나볼 수 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콜마홀딩스, 신규 이사 선임 임시주총 안건 부결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콜마홀딩스는 29일 세종시 산학연클러스터지원센터에서 열린 임시주주총회에서 신규 이사 선임 안건이 부결됐다고 밝혔다.이번 안건은 출석 주주의 과반수와 전체 발행주식의 4분의 1 이상 찬성이 필요했지만, 찬성률은 약 17%로 법정 기준 25%에 미치지 못했다. 표결에 참여한 기관투자자들도 신규 이사 선임에 반대 의사를 나타냈다. 회사

2

'전현무계획3' 전현무, 이정은과 은밀한 만남? 따로 만난 사연은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전현무계획3’ 전현무-곽튜브와 이정은-정려원이 보령의 맛집에서 환상적인 케미를 발산한다. 31일(금) 밤 9시 10분 방송하는 본격 리얼 길바닥 먹큐멘터리 ‘전현무계획3’(MBN·채널S·SK브로드밴드 공동 제작) 3회에서는 전현무-곽튜브(곽준빈)가 ‘먹친구’ 이정은-정려원과 함께 ‘64번째 길바닥’ 보령의 맛집을 누비는 먹트립

3

'독사과' 시즌2, 5MC도 경악한 '독사과 작전' 온다! 관전 포인트는?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SBS Plus, Kstar 공동 제작 예능 ‘리얼 연애실험실 독사과’(이하 ‘독사과’) 시즌2가 11월 1일(토) 밤 8시 첫 방송된다. ‘연인의 사랑을 실험한다’는 차별화된 포맷으로 시청자들을 몰입시켰던 ‘독사과’가 시즌2를 맞아 더욱 맵고 독하게 돌아온 가운데, 첫 방송을 흥미롭게 볼 수 있는 관전 포인트를 살펴봤다. # 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