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박투어3', 추성훈 출동한 일본 편 공식 포스터 공개! AZ력 폭발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4-15 09:00:21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독박투어’가 일본 오사카 편을 선보이며 새로운 공식 포스터를 공개했다.

 

▲'독박투어3' 일본편 포스터. [사진='독박투어3']

 

‘니돈내산 독박투어3’(채널S, SK브로드밴드, K·star, NXT 공동 제작)는 오는 19일(토) 저녁 8시 20분 방송되는 34회를 앞두고 ‘독박즈’ 김대희x김준호x장동민x유세윤x홍인규와 스페셜 게스트인 추성훈이 함께한 일본 오사카 편 공식 포스터를 전격 공개했다. 특히 일본 오사카 출신의 격투기 스타 추성훈이 게스트로는 최초로 공식 포스터에 함께 등장해 눈길을 사로잡는다. 

 

이번 포스터에서 ‘독박즈’는 일본 오사카의 울창한 숲을 배경으로 머리를 탑처럼 쌓아 올리는 기발한 포즈를 선보였다. 그 위로는 추성훈이 이들의 수호신처럼 ‘공중부양’을 하고 있어 ‘미친 존재감’을 발산했다. 이들 6인이 보여줄 ‘AZ(아재) 케미’에 대한 기대감이 치솟는 가운데, “아조씨들이랑 오사카 오똔데!”라는 문구까지 들어가 있어, 흡사 추성훈이 육성으로 일본 오사카 여행을 홍보하는 듯하다. 추성훈이 ‘독박즈’와 일본 편에 함께한 이유에 초미의 관심이 쏠린다. 

 

이와 함께, ‘독박투어’ 측은 나날이 치솟는 인기에 힘입어 론칭 3년여 만에 처음으로 공식 굿즈를 선보인다. 2023년 9월 첫 방송된 ‘독박투어’는 현재 ‘독박투어3’로 매주 토요일 저녁 안방 시청자들을 만나고 있으며, 지난 14일부터 ‘카카오톡 선물하기’에 입점해 공식 굿즈 2종을 선보이고 있다. 또한, 21일부터는 채널S 공식 유튜브 채널 내에 있는 ‘스토어’에서 굿즈 2종이 판매될 예정이다.

 

이번 공식 굿즈는 ‘독박즈’가 여행지에서 자주 하는 ‘가위바위보 게임’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소주잔 세트와, 여행 시 필수템인 담요 2종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소주잔 세트에는 ‘가위바위보’ 게임을 다양한 방식으로 즐길 수 있는 설명서도 포함돼 있어 ‘독박투어’ 팬들에게 호응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굿즈는 19일 방송 예정인 ‘독박투어3’ 일본 편에도 등장해 관심을 모을 전망이다.

 

‘독박투어3’ 측은 “그동안 ‘독박투어’를 사랑해주신 시청자 분들이 공식 굿즈에 대한 문의를 지속적으로 해주셔서 이번에 굿즈를 출시하게 됐다. 친구들과 게임할 때 술자리 벌칙용은 물론, 우정을 기념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공식 굿즈를 통해 ‘독박투어3’의 재미를 일상 속에서도 느껴보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병도 의원, ‘약자와의 동행’없는 서울시 미래교통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서울시가 ‘약자와의 동행’을 기치로 자율주행 서비스 확산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교통약자는 탑승조차 어려운 구조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9월 기준 서울시가 운행 중인 자율주행차 17대 중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차량은 6대(35.3

2

현대로템, 美 쉴드AI와 기술개발 업무협약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현대로템이 방산 부문의 인공지능(AI) 기반 기술경쟁력을 강화한다. 현대로템은 지난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미국의 AI 솔루션 업체인 ‘쉴드(Shield)AI’와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3

현대해상, ‘아이마음 놀이터’ 건립·운영 MOU 체결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현대해상화재보험은 영등포구청, 사회적기업 코끼리공장, 사단법인 루트임팩트와 ‘어울숲 문화쉼터×아이마음 놀이터’ 건립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아이마음 놀이터’는 현대해상이 창립 70주년을 맞아 새롭게 추진하는 대표 사회공헌 프로젝트다. 지자체와 협력해 아동과 양육자를 위한 열린 커뮤니티 공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