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오걸' 지셀 "타이틀 찾아올 것"→서리 "1위 못하면 안 돼" 의기투합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9 08:05:01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하우스 오브 걸스’의 ‘언타이틀 뮤지션’들이 최초 탈락자가 발생하는 3라운드 경연에 돌입해 180도 달라진 무대로 승부수를 띄운다. 

 

▲'하우스 오브 걸스'. [사진=ENA, 콘텐츠브릭]

 

20일(금) 밤 11시 방송하는 ENA ‘하우스 오브 걸스’(제작: 콘텐츠브릭) 5회에서는 ‘언타이틀 뮤지션’ 10인 밤샘-뷰-서리-시안-아라-영주-유아-율-지셀-키세스가 2인 1조가 되어 듀엣 무대를 선보이는 3라운드 ‘원 미션’ 경연 현장이 공개된다. 

 

앞서, ‘매니징 디렉터’ 이이경은 “3라운드 ‘원 미션’은 2인 1조로 한 팀을 구성해 무대에 오르는 경연이며, 단 한 팀만 ‘타이틀’ 자리에 오른다. 또한 최하위 팀은 ‘데스매치’를 치러 둘 중 한 명은 무조건 ‘하우스 오브 걸스’를 떠나게 된다”고 고지했던 터. 이날 ‘언타이틀 뮤지션’ 10인은 5개 팀을 이뤄, 각자 ‘K-POP’, ‘밴드’, ‘발라드’, ‘포크’, ‘R&B’ 장르를 선택해 무대에 오른다. 

 

드디어 3라운드가 시작되고, ‘아티스트 메이커’ 김윤아-양동근-신용재-소유는 첫 탈락자가 발생하는 라운드라는 말에 안타까움을 내비친다. 많은 서바이벌 예능을 거친 양동근은 “‘데스매치’는 언제나 마음 아픈 일”이라고 벌써부터 걱정한다. 팽팽한 긴장감 속, 지셀과 서리가 첫 주자로 나선다. 김윤아는 당당한 서리의 모습에 “눈에서 광선이 나온다!”라며 기대감을 드러낸다. 직후 서리는 “이 조합으로 1위 못하면 안 된다”고 자신 있게 외치고, 지셀 또한 “2라운드에서 놓친 ‘타이틀’ 자리를 무조건 찾아올 것”이라고 호언장담한다. 두 사람이 택한 장르는 R&B로, 이들은 화려한 화음이 어우러진 무대를 선사한다. 무대가 끝이 나자 신용재는 “그루브 감을 찾아볼 수 없었던 무대”라는 반전 평가를 내놓고, 소유도 “서로 싸우는 느낌이 들었다”며 아쉬워한다. 반전 평가에 충격받은 서리는 “너무 속상하다”며 울컥하는데, 그간 ‘하오걸’에서 상위권을 형성했던 두 사람이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에 뜨거운 관심이 쏠린다.

 

그런가 하면 키세스와 아라는 ‘포크’ 장르를 택해 열혈 훈련에 돌입한다. 아라는 한국의 포크 문화를 잘 모르는 ‘미국 교포’ 키세스를 위해 자신의 단골 LP바에 데리고 가 통기타 문화를 생생하게 느끼게 한다. 급기야 두 사람은 ‘내 사랑 내 곁에’를 손님들과 ‘떼창’하며 포크의 진한 감수성을 배우는데, “진정성을 보여드리겠다”고 외친 이들의 특훈이 3라운드 경연에서 결실을 거둘 수 있을지에 기대가 모아진다. 

 

최초의 탈락자가 발생할 ‘언타이틀 뮤지션’ 10인의 3라운드 경연은 20일(금) 밤 11시 방송하는 ENA ‘하우스 오브 걸스’ 5회에서 만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