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빅데이터 상권분석 '잘나가게' 예비창업자 대상 신규 서비스 개시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3-29 00:19:55
  • -
  • +
  • 인쇄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KT(대표 구현모)는 소상공인 대상 무료 빅데이터 상권분석 플랫폼인 ‘잘나가게’에서 기존 사업주뿐 아니라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타지역상권’을 신규 제공한다고 28일 밝혔다.

창업을 고민 중인 예비창업자들이 KT 잘나가게의 ‘타지역상권’ 탭에서 업종과 주소를 선택하면 주변 상권의 유동인구, 매출정보, 고객동선 등 핵심 정보를 제공하고, 창업 업종의 운영팁까지 ‘잘나가게TIP’이라는 이름으로 함께 제공한다. ‘타지역상권’ 에선 어떤 지역이라도 건물과 업종별로 상권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 모델이 KT 빅데이터 상권분석 서비스 ‘잘나가게’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KT 제공]



유동인구 정보는 매월 유동인구를 예측한 데이터와 함께 요일 및 시간대별 유동인구 등 가게 주변 인구정보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1년간 유동인구 변화량 등을 제공해 해당 지역 상권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매출 분석은 주변 선택·연관업종의 지난 달 평균매출과 1년간 매출 추이, 1회 평균 결제금액 등 정보를 볼 수 있으며, 실제 소비 인구의 성·연령·시간·요일대별 통계도 볼 수 있다. 또한 해당 업종의 경쟁 점포 위치, 점포 수 변화, 평균 영업 기간 등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잠재 고객들의 동선과 영업반경 정보도 제공한다. 건물을 중심으로 주변 상권을 분석해 점포를 찾는 고객이 주로 어느 방향에서 오는지, 몇 미터 안에 있는 사람들이 이용하는지를 지도에 표시해 보여준다.

 

▲ KT 잘나가게의 신규 서비스 ‘타지역상권’ 서비스 UI [사진=KT 제공]

 

또한 이제 ‘KT 잘나가게’와 ‘네이버 부동산’이 연동돼, 더 많은 사용자들이 ‘잘나가게’의 쉽고 정확한 상권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네이버 부동산 분양 탭의 ‘상가·업무’ 메뉴를 선택하면 KT 잘나가게에서 제공하는 상권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면 언제든지 ‘잘나가게 상권정보 더보기’를 눌러 ‘잘나가게’ 홈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서비스는 무료이며, 타지역상권 서비스의 경우 상권 분석 정보의 남용을 막기 위해 건물별 1일 조회 수는 3회로 제한된다. 신청 및 상세 안내는 KT 잘나가게 홈페이지와 고객센터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KT AI/BigData사업본부장 최준기 상무는 “소상공인을 위한 빠르고 쉬운 빅데이터 상권분석 서비스인 잘나가게가 예비창업자를 위한 ‘타지역상권’ 서비스를 오픈하고, 네이버 부동산과의 서비스 연동도 시작했다”며 “앞으로도 소상공인에게 가장 필요하고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LG헬로비전, 3분기 영업익 90억원…전년比 172.8↑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헬로비전은 잠정 영업실적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영업수익(매출) 2985억원, 영업이익 90억원, 당기순이익 20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영업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248억 원(7.7%↓), 전 분기 대비 556억원(15.7%↓) 하락했다. 이는 일회성 교육청 단말 사업이 빠지면서 매출이 일시적으로 감소한 영향이다

2

한국투자증권, 빗썸 고객 대상 GWM Wealth 컨퍼런스 개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국금융지주 자회사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4일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 고객을 대상으로 GWM Wealth 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고액 자산가를 위한 한국투자증권의 종합 투자전략 컨설팅 전문 조직인 GWM(Global Wealth Management)이 지난 10월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하는 행사다. 이번 컨퍼런스는 빗썸에서

3

LG유플러스, 3분기 영업익 1617억원…전년比 34.3%↓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유플러스는 2025년 3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수익 4조108억원, 서비스수익(영업수익에서 단말수익을 제외한 매출) 3조1166억원, 영업이익 1617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영업수익과 서비스수익은 모바일 부문의 성장세에 힘입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5.5%, 4.2% 늘어났다. 또한 전사 AI Agent 확산 적용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