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자동차 등록대수 2491만대 '2.07명당 1대'...전기차 신규등록 10만대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2-02-03 00:40:59
  • -
  • +
  • 인쇄
전체 신규등록 반도체 수급부족에 9.0% 감소...수입차 1.9% 증가
전기차 2018년말 대비 4.2배 증가...현대(44%)·기아(23.7%)·테슬라(14.2%) 순
누적 전기차 모델, 코나 일렉트릭-포터Ⅱ-아이오닉5-테슬라 모델3-니로EV 순
테슬라 전기차 점유율, 2018년 1.6%서 재작년 11.2%·작년 14.2%로 꾸준히 증가

지난해 자동차 신규 등록 대수는 전년 대비 9% 감소했지만 전기차 신규 등록은 10만대로 두배 넘게 증가했다.

국산차 신규 등록 대수는 11.1% 줄었지만 수입차 신규 등록은 1.9% 늘었다.

국토교통부는 작년 12월 기준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가 2491만대로 집계돼 2020년 말(2436만6천대) 대비 2.2%(55만대) 증가했다고 2일 밝혔다.
 

▲ 자동차등록대수와 친환경차 누적등록대수. [국토교통부 제공]

인구 2.07명당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는 꼴이다. 국가별 자동차 1대당 인구수를 보면 미국 1.1명, 일본과 독일 1.6명, 스웨덴 1.8명, 중국 5.1명 등이다.

차종별로는 승용차가 누적 2041만648대로 전체의 81.9%를 차지했고, 이어 화물차 14.6%(363만1975대), 승합차 3.0%(74만9968대), 특수차 0.5%(11만8510대)순이었다. 전년 대비 승용차는 2.8%, 화물차는 0.5%, 특수차는 11.9% 각각 증가한 반면, 승합차는 4.3% 감소했다.

▲ 2021년말 차종별 자동차 누적등록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원산지별로는, 국산차의 누적 점유율이 88.2%(2196만5천대)였고 수입차는 11.8%(294만6천대)를 차지했다.

수입차 점유율은 꾸준히 오르고 있다. 2017년 8.4%에서 2019년 10.2%로 처음 10%대에 진입한 뒤 2020년엔 11.0%, 2021년엔 11.8%로 점점 더 비중을 키웠다.

▲ 2021년말 자동차 연료별 누적등록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사용 연료별로는, 친환경차(전기·수소·하이브리드차)가 전년 대비 41.3% (33만9천대) 증가해 누적 등록대수 115만9천대를 기록했다.

휘발유차는 전년보다 3.1%(34만9천대) 늘었으나, 경유차는 지난해 처음으로 1.2%(12만대) 감소했다. 경유차 누적등록 대수는 2018년 993만대, 2019년 996만대, 2020년 999만대로 늘었었다.

친환경차 등록비중은 2014년 말 0.7%에서 2020년말 3.4%, 2021년말 4.7%로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 친환경차 연도별 등록비중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친환경차 가운데 수소차는 전년 대비 77.9%(8498대) 증가해 누적 1만9404대, 하이브리드차는 전년보다 34.7%(23만4천대) 늘어 누적 90만8천대가 됐다.

전기차는 전년보다 71.5%(9만6481대)가 증가해 총 23만1443대가 등록됐다. 2017년말(2만5108대)과 비교하면 9.2배, 2018년말(5만5756대)보다는 4.2배나 증가했다.

지난해 자동차 신규등록 대수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부족에 따른 생산차질로 전년(191만6천대)보다 9.0%(17만3천대) 감소한 174만3천대로 집계됐다.

▲ 2018년, 2020년, 2021년 신규 등록의 국산차와 수입차 비율. [국토교통부 제공]

지역별로는 광주(-14.6%), 대전(-13.5%), 울산(-13.4%), 서울(-13.0%), 전북(-12.5%), 대구(-12.2%) 순으로 신규 등록의 감소폭이 컸다. 17개 광역지자체 시도 중 전남(9.6%)과 부산(4.3%)만 전년보다 증가했다.

국산차 신규 등록은 142만9천대로 전년(160만7천대)보다 11.1%(17만9천대) 감소했으나, 수입차 신규 등록은 31만4천대로 전년(30만8천대)보다 1.9%(6천대) 증가한 31만4천대로 나타났다.

▲ 2021년 12월 기준 제작사별 전기차 누적등록 대수 비율. [국토교통부 제공]

지난해 신규 등록 점유율은 국산차 82.0%, 수입차 18.0%였다. 국산차 점유율은 2012년 91.0%에서 2013년 90% 아래(89.3%)로 떨어진 뒤 점점 더 비중이 줄면서 80%대마저 위협받고 있다.

전체 신규 등록이 감소한 가운데도 전기차는 10만대로 2020년(4만6천대)과 비교해 115%(5만4천대)나 신규 등록이 증가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전기차 10만대 이상 신규 등록된 국가 대열에 합류했다. 2020년에는 미국, 중국, 독일, 프랑스, 영국이 전기차를 10만대 이상 신규 등록했고, 지난해는 한국과 노르웨이가 이 대열에 들었다.

▲ 수입산 자동차 누적등록 대수. [국토교통부 제공]

지역별로는 경기·서울·제주도에 전체 23만1천대 중 40.3%인 9만3대가 등록됐다. 2020년 대비 전기차 보조금과 배정대수가 많은 인천이 가장 높은 139% 증가했고, 이어 부산(131%), 전북(122%) 순으로 신규 등록 대수가 늘었다.

전기차 차종별 누적 등록 대수는 승용차가 18만5천대로 80.0%, 화물차가 4만3천대로 18.6% 각각 차지했다. 승합차는 3만1천대(1.3%), 특수차는 130대(0.1%)였다.

▲ 2021년도 전기차 모델별 누적등록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제작사별로는 현대(44%), 기아(23.7%), 테슬라(14.2%) 순으로 누적 등록 점유율을 보였다. 특히 테슬라 전기차는 2018년 1.6%, 2019년 3.7%에서 2020년 두 자리 비중(11.2%)으로 급증하는등 꾸준히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지난해 기준 누적 등록 상위 전기차 모델은 코나 일렉트릭 3만2789대(14.2%), 포터Ⅱ 2만4599대(10.6%), 아이오닉5 2만2583대(9.8%), 테슬라 모델3 2만1456대(9.3%), 니로EV 1만9356대(8.4%) 순이었다.

▲ 2021년도 전기차 모델별 신규등록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지난해 중고차 매매거래 건수는 387만2천건으로 2020년 387만4천건 보다 0.1%(2천 건) 감소했다. 사업자 거래가 257만2천건으로 3.3% 증가한 반면, 개인간 거래가 130만건으로 6.1% 줄어든 탓이다.

수출말소(중고차 수출로 인한 등록 말소)는 33만8천건으로 전년(27만8천건)보다 21.6%(6만건) 늘면서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김은정 자동차운영보험과장은 “21년도 전체 자동차 판매량이 정체하는 가운데에도 친환경차 시장의 신모델 증가와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등에 따라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차량 보급은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다”며 “반면, 상대적으로 경유자동차는 총 등록대수가 증가세를 멈추고 처음으로 감소됐다”고 분석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타임테라스, 10월 한 달간 ‘가을 문화 축제’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타임테라스는 10월 한달간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을 준비한다고 3일 밝혔다. 먼저 오는 6일부터 매주 주말 오후 2시와 6시 A블록 아트리움에서 ‘테라스 라이브’를 진행한다. 타임테라스의 대표 문화 콘텐츠인 테라스 라이브는 다양한 장르의 공연으로 즐거움을 선사해왔다. 이번 공연은 추석 황금연휴에 맞춰 인

2

식품업계, 한가위에 신메뉴와 이벤트 통해 소비자 지갑 연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올해 추석 연휴가 최장 10일에 달하면서 외식·음료 업계가 다양한 신메뉴와 이벤트로 소비자 공략에 나섰다. 업계는 한가위의 전통적인 정취와 현대적인 감각을 결합해, 가족 단위 고객부터 젊은 세대까지 사로잡겠다는 전략이다. 도미노피자는 가을의 제철 맛을 담은 ‘추석 제철 베스트 TOP 4’를 선보였다. 랍스터 슈림프 투움바 피자와 블랙

3

도미노피자, 추석 맞아 '베스트 TOP 4' 피자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도미노피자가 명절 추석을 맞아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도미노피자는 긴 추석연휴와 가을의 맛을 제대로 즐길 수 있도록 '추석 제철 베스트 톱 4'를 선보인다. 이번 도미노피자의 톱 4는 새우+고구마 조합인 랍스터 슈림프 투움바 피자 또는 블랙타이거 슈림프에 고구마쥬 엣지를 더한 피자 2종과 고객 커스텀 포테이토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