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이앤씨가 탄소 중립의 핵심으로 평가받는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CCUS) 사업의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종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로 성장하기 위한 청사진을 17일 공개했다.
DL이앤씨는 CCUS 사업의 기술 경쟁력과 경험을 발판으로 고객에게 탄소중립과 ESG 비전을 실현할 수 있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방침이다.
![]() |
▲ DL이앤씨 CCUS 사업 개념도 [DL이앤씨 제공] |
이에 탄소 포집 EPC 분야에서 올해부터 2024년까지 국내외 누적 수주액 1조 원을 달성하고, 글로벌 시장 공략을 통해 2025∼2027년까지 연간 1조 원 수준의 수주 규모를 꾸준히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2030년까지는 매년 2조 원 수준으로 수주 규모를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DL이앤씨는 이를 통해 2030년에는 CCUS 사업에서만 연간 2조 원 규모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CUS는 탄소 감축의 주요 대안으로 꼽혔던 신재생에너지에 비해 투자비용의 부담감이 낮고, 즉시 현장에 적용해 탄소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인더스트리아크는 오는 2026년 글로벌 CCUS 시장 규모가 25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DL이앤씨는 국내 최초의 탄소 포집 플랜트를 상용화한 경험과 세계 최대인 연간 100만 톤 규모의 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플랜트 설계 능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서해그린환경과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탄소 포집 프로젝트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고, 서해그린에너지와 국내 최초의 탄소 네거티브 공장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탄소광물플래그십 사업단과 탄소광물화 원천기술 상용화를 위한 실증 플랜트 구축을 추진 중이다.
유재호 DL이앤씨 플랜트사업본부장은 “차별화된 기술력과 다양한 사업경험을 바탕으로 고객들에게 탄소포집뿐 아니라 활용·저장 분야에서 현실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CCUS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