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내부거래 비중 가장 높아...최근 5년간 현대重·현대차·GS↑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11-17 02:28:35
  • -
  • +
  • 인쇄
총수일가·총수2세 지분율 높을수록 내부거래 비중이 높아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 내부거래 중 93.7% ‘수의계약’

셀트리온이 지난해 내부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기업집단으로 조사됐다. 내부거래 금액이 가장 많이 증가한 그룹 순위에서도 현대자동차, 삼성에 이어 세 번째로 이름을 올렸다.
 

▲ 셀트리온 2공장 전경 [셀트리온 제공]


공정거래위원회는 자산총액 5조 원 이상인 국내 기업집단 71곳을 대상으로 지난해 상품·용역 내부거래를 분석한 내용을 16일 발표했다.

공정위 조사에 따르면, 이들 기업집단의 지난해 총매출액 기준 내부거래 금액은 전년도보다 13조 2000억 원 감소한 183조 5000억 원으로 조사됐다.

그룹 내 내부거래 금액이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1.4%로 전년 대비 0.8%포인트 줄었다.

내부거래 비중은 상장사(8.1%)보다 비상장사(18.8%), 총수 없는 집단(10.2%)보다는 총수 있는 집단(11.6%)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셀트리온은 내부거래 비중이 38.1%에 달해 조사 대상 그룹 중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내부거래액은 1조 6000억 원에 달한다.

특히, 의약품을 생산하는 셀트리온이 유통·판매를 담당하는 셀트리온헬스케어로부터 올리는 매출액은 1조 4800억 원으로, 그룹 전체 매출에서 35.8%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셀트리온은 내부거래 금액이 전년도보다 약 7000억 원 늘어난 것으로 조사돼 현대차(1조 2000억 원), 삼성(9000억 원)에 이어 세 번째로 증가액이 큰 그룹에 꼽혔다.

최근 5년간(2016~2020년) 내부거래 비중이 많이 증가한 곳은 현대중공업, 현대차, GS 순으로 나타났다.

▲ 자료=공정거래위원회



총수 일가나 총수 2세의 지분율과 내부거래 비중이 비례하는 경향도 확인돼 사익편취 감시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총수 일가 지분율이 100%인 회사의 경우 내부거래 비중이 28.6%에 달했다. 공정위는 이들 회사의 비중 증가에 대해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회사의 계열편입, 신규거래 발생, 사업재편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총수 2세의 지분율이 20% 이상인 회사에서 내부거래 비중은 22.7%로, 20% 미만인 회사(11.5%)와 약 2배 정도 차이를 보였다. 전체 대상(11.4%)과 비교해도 뚜렷하게 높았다.

이외에도 지분율 30% 이상 24%, 50% 이상 24.3%, 100%는 32.4%로 비중이 점차 늘어났다.

공정위는 “당해 구간 소속회사의 분할에 따른 계열사간 매출액 증가, 사업 수주 증가에 따른 내부거래 금액 증가 등 사유에 기인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 자료=공정거래위원회


총수 일가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지분율 상장사 30%, 비상장사 20% 이상)의 내부거래 비중 12.1%, 내부거래 금액은 8조 9000억 원으로 전년도 보다 비중 및 금액이 모두 증가했다.

이들 회사는 내부거래의 대부분(93.7%)을 수의계약 방식으로 체결했다. 수의계약 비중과 금액은 전년 대비 모두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사각지대 회사(지분율 20∼30% 상장사,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의 자회사, 총수 일가 지분율 20∼30% 상장사의 자회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10.5%로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보다 낮은 편이었다.

하지만 내부거래 금액이 약 24조 1000억 원으로 2.7배 정도 컸으며, 회사당 금액 역시 사각지대 회사가 규제대상 회사보다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B국민은행, '스타벅스 콜라보 프리미엄 굿즈 이벤트' 실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KB국민은행은 스타벅스와 함께 제작한 프리미엄 굿즈를 제공하는 고객참여형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이번 이벤트는 총 두 가지 미션으로 구성돼 있으며, 만 19세 이상 개인이나 개인사업자 고객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이벤트 기간 동안 두 가지 미션을 모두 달성한 고객에게 KB국민은행과 스타벅스가 협업해 제작한 프리미엄 굿

2

롯데GRS, 동반성장지수 최우수 등급 달성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GRS는 2021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그룹사 최초로 ‘최우수’ 등급을 받은 이래로 2024년도 지수 평가에서도 최고 등급인 최우수를 획득했다. 동반성장지수는 대·중소기업 간 상생을 위해 기업의 동반성장 수준을 평가해 계량화한 지표다. 동반성장지수 등급은 최우수,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등 5개로 나뉜다. 동반성장위원회의

3

대웅제약, 글로벌 전역에 ‘K-뷰티’ 알린다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이 글로벌 의료진 교육 프로그램 ‘나보타 마스터 클래스(Nabota Master Class, 이하 NMC)’를 연 2회에서 4회로 확대하고, 아시아·중남미·중동 등 지역별 맞춤형 학술 프로그램을 강화한다고 4일 밝혔다.이번 확대 운영은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 중인 나보타의 수요에 대응하고, 지역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