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박투어3' 장동민 "기네스북 오른 귀신의 집으로!" 日 '전율미궁' 체험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4 09:07:10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독박즈’가 기네스북에 등재된 일본 ‘귀신의 집’에서 역대급 공포 체험을 한다.

 

▲'독박즈'가 기네스북에 등재된 '귀신의 집' 체험으로 오싹한 공포를 선사한다. [사진='독박투어3' 방송 갈무리]

 

14일(오늘) 저녁 8시 20분 방송하는 ‘니돈내산 독박투어3’(채널S, SK브로드밴드, K·star, AXN 공동 제작) 17회에서는 일본의 야마나시현으로 떠난 김대희x김준호x장동민x유세윤x홍인규가 현지의 유명 테마파크 내에 있는 ‘귀신의 집’에서 오싹한 ‘독박 게임’을 하는 모습이 펼쳐진다.

 

이날 ‘독박즈’는 신비로운 후지산을 품고 있는 야마나시현에 도착해 카약 투어에 나선다. 이후, 장동민은 “다음 코스는 후지산 등산이야?”라는 홍인규의 말에 “어쩌면 등산보다 더 힘든 여정이 될 수도 있다”고 운을 뗀 뒤, “기네스북에 오른 ‘귀신의 집’에 한 번 가보자”라고 제안한다. 순식간에 등골이 오싹해진 김대희는 “예전에 귀신의 집에 갔다가 목쉬어서 나온 적 있는데…”라며 심란해한다. 그러자 장동민은 “‘귀신의 집’에 들어갔다가 중도에 포기하거나 심박수가 가장 높았던 사람이 독박자가 되는 걸로 하자”라고 추가 아이디어를 낸다. 이들은 ‘동공지진’을 일으키면서도, 한 번도 시도하지 않은 이색 독박 게임에 모두 동의한다. 그런 뒤, 야마나시현의 인기 테마파크 내부에 있는 공포 체험 공간인 ‘전율 미궁’ 티켓을 구입한다.

 

입구에서부터 겁에 질린 홍인규는 “이건 허상이야, 허상”이라고 셀프 최면을 시도한다. 반면 김준호, 장동민은 앞장서서 조심스레 발을 들이는데, 얼마 후 ‘강심장’ 장동민은 누워 있는 귀신 연기자를 발견하자 “안쓰러워 죽겠다”며 측은히 바라봐 모두를 폭소케 한다. 그러나 김준호는 갑자기 등장한 귀신에 혼비백산해 급성 멀미 증세를 호소한다. 급기야 김준호는 “여기는 절대로 혼자 못 오는 곳”이라며 공포에 질려 울먹인다. 유세윤과 홍인규 역시 실제보다 더 리얼한 귀신 비주얼에 충격을 받아, “나 지금 심박수 엄청 올라갔어”라고 하소연한다. 과연 이들 중 ‘중도 포기자’가 나오게 될지, ‘독박즈’ 중 가장 ‘강심장’과 ‘쫄보’가 누구일지에 뜨거운 관심이 쏠린다.

 

일본 야마나시현으로 떠난 ‘독박즈’의 공포 체험 현장은 14일(오늘) 저녁 8시 20분 방송하는 ‘니돈내산 독박투어3’ 17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독박투어3’는 채널S, K·star, AXN에서 동시에 방송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현대해상, ‘아이마음 놀이터’ 건립·운영 MOU 체결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현대해상화재보험은 영등포구청, 사회적기업 코끼리공장, 사단법인 루트임팩트와 ‘어울숲 문화쉼터×아이마음 놀이터’ 건립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아이마음 놀이터’는 현대해상이 창립 70주년을 맞아 새롭게 추진하는 대표 사회공헌 프로젝트다. 지자체와 협력해 아동과 양육자를 위한 열린 커뮤니티 공간

2

NH농협은행, '365일 24시간 펀드투자 시스템' 도입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NH농협은행은 디지털 금융환경 변화에 발맞춰 고객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펀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365일 24시간 펀드투자 시스템’을 전면 도입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시스템 도입으로 영업시간이나 요일에 관계없이 모바일과 인터넷뱅킹을 통해 펀드 신규와 추가입금 거래를 할 수 있게 됐다. 시간 제약없이 펀드 거래가 가능해지면

3

IBK기업은행, IBK창공 룩셈부르크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성료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유럽 진출을 희망하는 혁신·벤처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운영한 2025년 ’IBK창공 유럽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in 룩셈부르크’를 성료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난 6월 주한 룩셈부르크 대사관과 체결한 ‘혁신창업기업의 유럽진출 지원’ 업무협약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혁신창업기업의 투자유치 기회 제공과 현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