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삼플레이' 지석진 "샤워 끝내고 스스로 섹시해 보여" 아내와 금실 자랑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9-17 13:47:59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석삼플레이’의 지석진이 스스로 섹시하게 느껴지는 순간을 밝히며, 아내와의 특별한 금실을 자랑해 시선을 사로잡았다.

 

▲'석삼플레이'. [사진=웨이브]

 

16일 공개된 웨이브(Wavve) 선공개 예능 ‘석삼플레이’ 6회에서는 지석진-전소민-이상엽-이미주가 게스트 넉살과 함께 세 번째 국내 여행에 나선 ‘춘천 여행기’ 2탄이 담겼다. 

 

지난 영상에서 ‘안티 텔레파시’ 게임에 성공하며 극적인 ‘경비 더블업’을 이뤄낸 이들은, 케이블카로 이동하던 중 ‘자신이 언제 가장 섹시하게 느껴지는지’에 대한 토크를 진행했다. 이때 지석진은 “샤워를 끝내고 머리가 적당히 말랐을 때, 뿌연 거울 앞에 서 있는 내 모습이 스스로 섹시해 보인다”라며, “그럴 때 와이프를 불러서 수건을 부탁한 뒤, 문을 열 때 몸을 살짝 가리곤 한다”라고 디테일한 ‘부부의 세계’를 설명했다. 직후 전소민은 지석진에게 “언니(와이프)가 기겁해 소리 지르진 않느냐”라고 농담해 폭소를 자아냈다. 

 

이어서 ‘소주 자매’ 전소민-이미주 또한 서로의 ‘섹시 포인트’를 짚어내며 칭찬 폭격을 가동했다. 전소민이 “미주는 살짝 졸려서 눈이 반쯤 감겼을 때 진짜 섹시하다”라고 시동을 걸자, “둘이 또 파이팅 시작이다”라는 이상엽의 ‘해탈 반응’이 이어진 것. 이후로도 전소민-이미주는 “(소민) 언니는 큐티 섹시”, “미주는 더블 섹시”라며 남다른(?) 작명 센스를 드러냈고, 이를 지켜보던 게스트 넉살은 “단어 선택이 굉장하다, 초등학교 저학년생도 알아들을 수준”이라며 감탄을 금치 못했다. 

 

그런가 하면 한낮 시간 케이블카에 탑승하게 된 멤버 4인방과 넉살은 에어컨과 선풍기가 없는 케이블카 안에서 살짝 닿기만 해도 불쾌 지수를 폭발하며 ‘아웅다웅 케미’를 이어 나갔다. 이후 더위에 지친 이들은 ‘딱밤’ 벌칙을 걸고 ‘말하지 않기 게임’을 즉석 진행했다. 이른바 ‘침묵의 케이블카’에서, 4인방과 넉살은 서로에게 딱밤을 때려보겠다는 일념으로 최선을 다한 도발에 나서 연신 웃음을 자아냈다. 이와 함께 경비 ‘더블업’을 건 본격 미션에서는 속담과 영화 제목에 관한 ‘릴레이 그림 퀴즈’를 진행하기도 했는데, 멤버들의 ‘정답 행진’에 조급해진 제작진은 ‘경비 세 배 지급’을 걸고 더욱 큰 판을 벌여 ‘꿀잼 폭격’을 이어 나갔다. 

 

지석진-전소민-이상엽-이미주의 ‘플렉스’와 ‘짠내’를 오가는 경비벌이 미션 여행기 ‘석삼플레이’는 매주 화요일 오후 5시 웨이브(Wavve)에서 선공개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