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소판 활성화 장치 활용한 PRP 주사… 무릎 통증·기능 개선 효과 뚜렷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2 09:06:43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무릎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염)의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주목받는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PRP) 관절강내 주사’의 효과가 혈소판 활성화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힘찬병원 관절의학연구소는 2025년 1월부터 8월까지 무릎 관절염으로 PRP 주사 치료를 받은 환자 60명(55~65세)을 대상으로 혈소판 활성화 장치 사용군과 비사용군의 치료 효과를 비교한 결과, 사용군에서 통증 완화와 관절 기능 개선 효과가 더 뚜렷했다고 22일 밝혔다.
 

▲ 힘찬병원 연구, PRP 주사 치료 효과 ‘혈소판 활성화’로 극대화

PRP 주사는 환자 본인의 말초혈액(20~30mL)을 채취해 원심분리로 추출한 혈소판 풍부 혈장을 무릎 관절강내에 주입하는 치료법이다. 혈소판이 함유한 성장인자와 단백질이 손상된 조직 재생을 촉진해 통증 완화와 기능 개선을 돕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분석에서 혈소판 활성화 장치 사용군의 VAS(통증 지수)는 시술 전 6.10점에서 시술 후 2.92점으로 52.1% 감소했으며, WOMAC(관절 기능 평가 지수) 역시 41.60점에서 26.00점으로 37.5% 낮아졌다. 반면 비사용군은 WOMAC이 8.4% 감소하는 데 그쳐, 두 군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목동힘찬병원 이동녕 진료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혈소판 활성화 장치를 사용한 환자군에서 통증 감소 폭과 기능 회복 효과 모두 뚜렷했다”며 “임상 데이터를 통해 물리적 활성화 방식의 치료 효용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혈소판 활성화에는 ▲화학적 방식(활성제 첨가) ▲물리적 방식(유동·전기 자극 등)이 있다. 이 중 물리적 방식은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아 부작용 위험이 적고 자연 활성화 원리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안전성이 높다는 평가다.

부평힘찬병원 김유근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PRP 주사는 입원 없이 외래에서 당일 시술이 가능해 환자 부담이 적다”며 “다만, 1년 이상 약물치료나 기존 주사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KL 2~3등급 중기 관절염 환자에게만 적용되는 만큼 사전 평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아첼라’ 출범한 종근당, 신약개발 효율성·글로벌 진출 속도 높인다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종근당(대표 김영주)이 신약개발 전문 자회사 ‘아첼라(Archela Inc)’를 신설하고 창립식을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새롭게 출범한 아첼라는 이름에 ‘근원에서 피어난 생명’, ‘근본에서 확장되는 조화로운 성장’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고대 그리스어 아르케(Arche)*는 ‘시작, 근원, 원리’를 뜻하며, 어미 라(la)는 ‘생명

2

IBK기업은행, 미트박스글로벌·금융결제원 MOU체결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지난 21일 미트박스글로벌, 금융결제원과 ‘이커머스 플랫폼 상생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축산물 B2B 거래의 디지털화를 선도해 온 이커머스 플랫폼 ‘미트박스’를 이용하는 정육점·음식점업 등 소상공인의 안정적인 사업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체결됐다.기업은행은 이번 협약을 통해 플

3

바디프랜드 헬스케어로봇, 고령자 하체근력 개선효과 확인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바디프랜드가 자체 개발한 헬스케어로봇의 ‘PNF 스트레칭’ 마사지 프로그램이 고령자의 하체 근력 및 신체 기능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에 게재됐다고 22일 밝혔다. ‘PNF(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스트레칭’ 프로그램은 전문가의 가이드가 필요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