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어젠, 경구용 GLP-1 펩타이드 ‘코글루타이드’ 미국 FDA NDI 신청…북미 시장 공략 본격화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11-18 09:27:39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펩타이드 전문 바이오기업 케어젠(대표 정용지)이 경구형 GLP-1 펩타이드 ‘코글루타이드(Korglutide)’의 미국식품의약국(FDA) 신규 기능성 원료(NDI, New Dietary Ingredient) 등록 신청을 제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NDI 신청은 미국 내 정부 셧다운으로 신청이 중단된 이후, 셧다운 해제 직후 즉시 이루어졌다. FDA는 접수 후 75일 내 검토 의견을 회신하며, 케어젠은 내년 1월 경 최종 결과를 확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케어젠, 경구용 GLP-1 펩타이드 ‘코글루타이드’ 미국 FDA NDI 신청

케어젠은 이전에도 혈당 조절 펩타이드 ‘디글루스테롤(Deglusterol)’과 근육 건강 펩타이드 ‘마이오키(Myoki)’로 FDA NDI 승인을 획득한 바 있으며, 이번 코글루타이드 신청은 합성 펩타이드로 FDA NDI 승인을 두 차례 이상 받은 전 세계 유일 기업으로서의 기록을 이어가는 사례다.

코글루타이드는 GLP-1 수용체와 IGF-1 수용체를 동시에 활성화하는 이중작용(dual-agonist) 경구형 펩타이드로, 체중 조절과 대사 균형을 동시에 개선하는 혁신적 기전을 갖는다. 케어젠은 비만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12주 만에 평균 체중 10.75%(약 9.3kg)를 감량하고 근육량은 유지하면서 체지방 중심으로 감소하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했다.

이어 일반 성인 200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에서는 12주간 1일 2회 투여로 체중 −10.1%(약 −5.9kg), 체지방 −16.3%(−3.52kg), 내장지방 −13.5%, 근육 비율 +2.8% 증가라는 결과를 기록했다. 위약군 대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대한 이상반응은 없었다. 이 연구는 정상인 대상 체중조절 임상으로서 케어젠만이 보유한 독보적 자료가 될 전망이다.

코글루타이드는 현재 캐나다, 태국, 멕시코, 튀르키예, 페루, 파라과이, 레바논, 에콰도르 등과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상용화 중이며, 인도에서는 체중관리 기능성을 공식 인정받았다. 중국, 러시아, 방글라데시,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등에서도 공급 계약 및 임상 진행이 계획돼 있다.

케어젠은 주사제의 불편함 없이 간편하게 복용 가능한 경구형 솔루션으로 개발했으며, 스틱분말·캡슐·설하 필름 등 다양한 제형으로 확장 개발 중이다. 회사는 NDI 승인과 함께 아마존을 통한 북미 직접판매를 계획하며, 글로벌 시장 선점과 협업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최애와의 30분' 츄, '찐팬'과 30분 진한 만남 '롱테이크 무편집'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가수 츄가 ‘최애와의 30분’ 첫 회 게스트로 등판, 자신의 ‘찐팬’과 30분 동안 진한 만남을 가지며 ‘인간 ENFP’의 매력을 폭발시킨다. 19일(수) 웨이브에서 독점 선공개되는 ‘최애와의 30분’(제작 스페이스래빗, 연출 남성현 안광현)은 팬들이 인생에 한 번 만나기도 힘든 자신의 ‘최애(가장 애정하는 사람)’와 30분을

2

파라다이스 호텔 부산 ‘남풍’, 임상진 닥터 셰프 초청 갈라 디너 개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파라다이스 호텔 부산의 중식당 ‘남풍’이 오는 20일 임상진 닥터 셰프를 초청해 특별 갈라 디너를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남풍 전석수 마스터 셰프와 임상진 닥터 셰프가 협업해 ‘음식과 약은 근원이 같다’는 의식동원(醫食同源) 철학을 담은 총 9가지 코스 요리를 선보인다.코스 요리는 △기운을 깨우는 백태 두유 △활복도

3

경희대병원 장재영 교수, 제14대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이사장 선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장재영 교수가 11월 14일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린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평의원회에서 제14대 이사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2027년 11월부터 2년간이다.장재영 차기 이사장은 선출 직후 부이사장직을 수행하며 차기 집행부 운영 준비에 들어갔다. 장 교수는 “지난 20여 년간의 학회 활동 경험과 내시경 질관리 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