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 신한, 우리 회장 선임 모두 찬성
국민연금, 신한 진 내정자 선임 반대 불구 영향력 제한적
임 내정자 외국인,노조 등 우호 지분 확보...시만단체는 반대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신한금융지주를 시작으로 이번주 국내 4대 금융지주 정기주주총회가 잇따라 열리는 가운데 신한금융 진옥동, 우리금융 임종룡 회장 내정자가 안정적인 우호 지분을 기반으로 선임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국민연금은 진 회장 내정자 선임에 반대표를 던지기로 한 가운데 임 회장에 대한 의결권 행사 방향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지주는 오는 23일 주총을 열고, KB·우리·하나금융지주도 일제히 오는 24일 정기 주총을 개최한다.
![]() |
▲ (사진 왼쪽부터)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내정자, 임창룡 우리금융 회장 내정자 [사진=각사 제공] |
신한금융지주 주주총회에서 최대 이슈는 단연 진옥동 차기 회장 내정자의 사내이사 선임안이다.
금융권에서는 국민연금 반대표 행사에도 불구 하고 진 내정자 선임 안건이 주총을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전체 주주의 약 62%를 차지하는 외국인 주주들이 가장 많이 참고하는 글로벌 최대 의결권 자문사인 ISS(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s)가 진 내정자 선임 찬성 의견을 밝혔기 때문이다.
ISS는 최근 "진 회장 내정자는 리스크 관리를 개선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했고, 라임 사태 재발 방지책을 마련했다. 불확실한 경영 환경에서 회장 후보를 반대하는 것은 회사의 가치와 주주의 가치를 훼손할 수 있는 만큼 찬성을 권한다"고 밝혔다.
또한, 진 회장 내정자가 재일교포 주주들의 지지를 받고 있고 우리사주조합도 우호세력으로 힘을 보탤 것으로 보여 임 내정자의 선임 가능성은 매우높다.
앞서 국민연금은 지난 16일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차기 회장 내정자 선임에 대해 반대표를 행사하기로 했다. 국민연금은 “사내이사 진옥동 및 사외이사 성재호·이윤재 각 선임의 건에 대해 기업가치 훼손 내지 감시의무 소홀 등을 이유로 반대한다”고 밝혔다. 다만, 국민연금은 최대주주이긴 하지만 지분이 7.69%에 그쳐 의결권 영향력은 크지 않다.
국민연금이 금융지주 회장에 대한 반대표 행사를 결정한 것을 두고 정치적 결정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윤 대통령의 소유분산기업에 대한 지배구조 개선 관련 발언이 나온 이후 국민연금의 첫 번째 반대 의결권 행사이기 때문이다.
우리금융지주 주총에서도 임종룡 회장 내정자에 대한 선임 안건이 최대 이슈다. 임 내정자는 최종 후보로 낙점된 이후 노동조합과 소통은 물론, 전면적인 조직 개편과 인사개편을 단행하며 우리금융의 미래방향을 설정하는 등 분주한 날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ISS가 임 내정자의 선임에도 찬성 의견을 밝히자 안건 통과를 확실시하는 분위기다. 우리금융 전체 주식의 40%를 넘게 외국인들이 보유하고 있고 9.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최대주주인 우리사주조합도 임 내정자에 대해서 우호적이다. 우리사주조합을 노조에서 관리하고 있는데 과거 임 내정자의 회장 선임을 반대했던 우리금융 노조는 임 내정자와의 만남 이후 우호적인 관계로 돌아선 상태다.
다만, 금융정의연대와 민주노총 등 노동·시민 사회단체는 임 내정자의 선임을 반대하고 지난 17일 공동성명과 함께 국민연금공단에 ‘임 내정자 선임을 재검토해달라’는 내용의 의결권 행사에 대한 의견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임 내정자는 금융위원장 재직 시절부터 전 금융권과 우리 사회 내 사모펀드부실, 전자금융사기, 가계부채부실, 조선 해·운산업의 구조조정실패 등을 키워온 장본인이라며 자질은 물론 역량 또한 심각히 미달된다”고 주장했다.
업계에서는 국민연금이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수책위) 회의를 오는 23일 열고 우리금융지주 의 주총 안건에 대한 의결권 행사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회의를 통해 수책위가 임 내정자 선임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8.88%의 지분으로 결과를 뒤바꾸기에는 역부족이다. 게다가 국민연금의 개입을 일각에서는 관치금융으로 비판하고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우리금융에 대한 국민연금의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기관투자자 등도 주주가치 극대화 차원에서 임 내정자를 지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