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독자 개발한 양자암호통신 서비스 품질평가 기준이 국제전기통신연합(ITU)으로부터 세계 최초로 국제 표준 승인을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양자암호통신은 양자 기술에 기반을 둔 차세대 보안 기술이다. 금융‧의료‧국방‧연구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안성 강화를 위해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 |
▲ [KT CI] |
KT가 독자 개발하고 ITU 국제표준으로 승인받은 ‘양자암호통신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은 ▲응답지연 ▲응답지연변이 ▲손실율 등에 따라 특화된 파라미터를 적용해 서비스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양자암호 전용회선 상용화에 필요한 약관 신고사항인 서비스품질 협약(SLA)의 규정이 가능하다.
KT는 이 기준을 자체 구축해 운영 중인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적용했다.
지금까지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양자키 분배장치 성능으로 비교 평가했다. 하지만 실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다수의 장치를 장거리에 걸쳐 네트워크 형태로 연결하기 때문에 고객이 느끼는 서비스 품질과는 차이가 있었다는 것이 KT 측 설명이다.
KT의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현재 강원도청과 2군단은 실종자 탐색용 드론의 영상 송수신 체계에 적용돼 있다.
또한 제주도청은 해킹이나 외부 침입에 의한 자율주행차량 사고를 막기 위해 일부 구간에 KT의 양자암호통신 솔루션을 적용해 차량과 관제센터간 통신 내용을 보호하고 있다.
이종식 KT 융합기술원 인프라DX연구소장은 “양자암호통신 발전을 위해 응용 기술뿐 아니라 근본적인 양자기술 개발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며 “특화 기술 개발과 국내 기술 생태계 조성을 동시에 진행해 대한민국 양자암호통신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