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대한비뇨의학회(회장 서성일)는 최근 학술지 JKMS(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게재된 연구를 근거로, 전립선암 국가검진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내 51개 종합병원에서 2010~2020년 전립선암으로 진단된 27,075명을 대상으로 분석했으며, 그 결과 진단 당시 절반 이상인 50.6%가 이미 고위험 전립선암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저위험군 비율은 2010년 11.4%에서 2020년 7.6%로 감소해 조기 발견 체계 부재가 심각함을 보여준다.
![]() |
▲ 전립선암 국가검진 도입이 시급하다. |
특히 지역 간 차이도 나타났다. 농어촌 지역 환자의 고위험 비율은 55.4%, 도시 지역은 47.7%로, PSA 검진 기회가 제한된 지역에서 고위험군 비율이 더 높았다.
논문 교신저자인 고영휘 교수(이화의대 비뇨의학과)는 “국내 전립선암 환자의 절반 이상이 고위험 단계에서 진단되는 현실은 국가 차원의 조기 검진 체계 부재를 의미한다”며 “혈액 검사(PSA)만으로 쉽게 조기 발견이 가능하므로, PSA 검사를 국가암검진 항목에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성일 대한비뇨의학회 회장은 “전립선암은 더 이상 개인 문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국가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조기 검진과 함께 과잉진단 및 과잉치료 방지를 위한 명확한 원칙을 마련하고,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의사결정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가 차원의 전립선암 조기검진 도입 필요성을 명확히 보여주는 자료로, 특히 농어촌·취약지역 등 PSA 검진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 정책적 대응이 절실함을 시사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