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상하이 국제기능올림픽’ 후원…5회 연속 최상위 타이틀 스폰서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11-12 10:25:22
  • -
  • +
  • 인쇄
8회 연속 대회 후원

삼성전자는 지난 11일 국제기능올림픽위원회와 '2022 상하이 국제기능올림픽' 후원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청소년 교육에 관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식(CSR) 활동으로 국제기능올림픽을 15년간 후원해 오고 있다. 지난 2013년 독일 라이프치히 대회부터 5회 연속 단독 '최상위 타이틀 후원사(OEP)'로 참여 중이다.
 

▲ 2022 상하이 국제기능올림픽, 삼성전자 로고 [삼성전자 제공]

 

당초 올해 개최 예정이었던 중국 상하이 대회는 코로나19 확산으로 1년 연기돼 내년 10월 12일부터 17일까지 상하이 국립컨벤션전시장에서 열린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후원 체결식에는 크리스 험프리스 국제기능올림픽위원회장과 데이빗 호이 사무총장, 쟝 란 상하이 국제기능올림픽 조직위원장, 루 위린 국제기능올림픽 중국위원회 대표, 최승식 삼성전자 중국총괄, 장동섭 삼성기능올림픽 사무국장이 참석했다.

삼성전자는 상하이 대회를 150만 유로 규모로 후원한다. 이번 후원을 통해 대회에 필요한 IT제품을 공급하고 경기장 로고 노출과 시상식 메달 수여, 대회 기간 중 체험관 등을 운영할 수 있다.


특히 이번 대회에는 지나 2015년 브라질 상파울루 대회에서 CNC 밀링 직종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이희동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프로가 국제기능올림픽 챔피언즈 트러스트 아시아태평양지역 대표로서 숙련기술 홍보대사로 활약할 예정이다.

크리스 험프리스 국제기능올림픽위원회 회장은 "삼성은 기업의 성공은 이익이 아니라 지속적인 인재육성에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삼성이라는 든든한 파트너와 함께 나아가게 돼 정말 기쁘다"고 말했다.

장동섭 삼성기능올림픽 사무국장은 "삼성은 전세계 청년 기술인재 육성을 위해 국내외 기능경기대회를 꾸준히 후원하고 있다"며 "이번 대회를 통해 더 많은 청년들이 미래를 개척해 나갈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내년 상하이 대회에는 전 세계 67개국의 1600여명 선수들이 각국을 대표해 클라우드 컴퓨팅, 사이버보안, 메카트로닉스, 모바일로보틱스, 광전자기술 등 63개 종목에서 세계 최고의 기량을 겨룰 예정이다.

한국은 46개 직종에 51명의 선수가 참가할 예정이다. 이 중 삼성전자·삼성전기·삼성중공업 직원 23명이 국가대표 선수로 18개 종목 경기에 출전하기 위해 훈련 중이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현대백화점그룹, 추석 앞두고 중소 협력사 결제대금 조기 지급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백화점그룹이 추석 명절을 앞두고 중소 협력사들의 결제대금을 조기 지급한다. 경기침체 장기화와 고금리·고물가 여파로 자금 압박을 받는 중소 협력사들의 경영 부담을 덜어주려는 취지다. 현대백화점그룹은 그룹 계열사와 거래하는 9000여 중소 협력사의 결제대금 2,107억원을 당초 지급일보다 최대 9일 앞당겨 추석연휴 전인 다음달 1일

2

쿠팡, 중기중앙회·홈앤쇼핑과 중소기업 물류 협업 출범식 개최
[메가경제=정호 기자] 쿠팡이 중소기업중앙회, 홈앤쇼핑과 함께 중소기업의 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업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16일 밝혔다. 쿠팡은 오늘(16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물류협업 출범식’에 참여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10월 체결한 3자 간 업무협약의 후속 조치로, 홈앤쇼핑 입점 중소기업을 대상

3

롯데칠성음료, 신규 홍보영상 '모든 곁에 칠성' 공개
[메가경제=정호 기자] 롯데칠성음료가 소비자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에 기여하는 롯데칠성음료의 가치를 담은 신규 홍보영상 ‘모든 곁에 칠성’을 공개했다. 이번 영상은 7년 만에 제작된 총 2분25초 길이의 기업 PR영상으로 ‘롯데칠성음료가 만들어가는 건강하고 행복한 세상’이라는 주제로 제작되었다. 영상에는 세대별, 나라별 다양한 고객들의 일상 속에서 함께하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