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은 빅데이터 기반의 공동주택 하자 분석시스템(ARDA)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ARDA는 통합대시보드를 활용해 전국 푸르지오 현장에서 발생하는 하자 현황을 실시간으로 구현한다. 통합대시보드는 하자의 유형‧시기와 세대수별 하자 현황, 처리 과정 등을 한눈에 보여준다. 해당 현장을 유사 현장과 비교해 분석해준다.
![]() |
▲ 대우건설이 빅데이터로 아파트 하자를 관리하는 시스템 'ARDA'를 개발했다. [대우건설 제공] |
대우건설은 방대한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표현해 관리자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현장의 시공‧관리 담당자도 ARDA로 하자 발생 현황을 쉽게 파악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밖에도 빅데이터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현장별 하자 건수 예측, 문제 공종 사전 예측, 하자 발생 원인 추적·분석·예방 등 선제적인 서비스에도 투자하고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해 푸르지오 아파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자분석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며 “지속적인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통해 고객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