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안전특별위원회' 합의 무색…노사 신뢰 균열 조짐
[메가경제=정호 기자] 한국GM지부가 사측의 직영 서비스센터 매각 방침에 강하게 반발했다.
10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GM지부는 보도자료를 내고 "직영 서비스센터 매각은 단순한 사업 구조 개편이 아니라 사실상 구조조정 모델"라며 강력한 저지 의사를 밝혔다.
![]() |
| ▲ 헥터 비자레알 한국GM사장.[사진=한국GM] |
기존 서비스센터에서 근무하던 직원들은 다른 직무로 재배치될 예정이다. 이에 노조는 "사측의 일방적인 통보는 교섭 합의를 정면으로 위반한 동시에 고용 파괴 행위"라며 "사측과 직영 서비스센터 활성화를 위한 TFT 구성 및 운영 방안을 논의해 왔지만, 본사 결정이라며 이를 뒤엎었다"고 비판했다.
또한 "직영 서비스센터 폐쇄 시도는 단순한 사업 구조 개편을 넘어 전형적인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모든 수단을 강구해 저지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GM은 내년 1월 1일부터 전국 9개 직영 서비스센터의 '사후관리 서비스(애프터세일즈)'와 접수를 중단할 예정이다. 기존 센터는 2월 15일까지 운영을 종료하고, 380여 개 협력사 체제로 전환할 계획이다.
노사는 올해 임금협상을 통해 서비스센터 지속 운영과 관련해 "미리 정해진 결과가 없음을 전제로 고용안전특별위원회를 운영하기로 했다"고 합의한 바 있다.
이번 결정은 지난 5월 발표된 매각 방침의 후속 조치로, 당시 한국GM은 재무 건전성 확보를 위해 부평공장 일부 시설 매각 방안과 함께 해당 계획을 마련한 바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이번 결정을 두고 직무와 무관한 재배치를 통해 사실상 퇴사를 종용하는 조치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한국GM 관계자는 "조직 내 원활한 직무 전환을 위해 노동조합 및 직원들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며 "직무 상담 절차를 비롯한 조치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