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젠셀, 맞춤형 면역치료 진단키트 사업 진출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11-15 10:57:24
  • -
  • +
  • 인쇄
‘정밀의료진단그룹‘ 신설, 최희백 상무 영입

바이젠셀이 개인 맞춤형 면역치료를 위한 ‘진단키트 사업‘에 진출하고, 이를 위해 ‘정밀의료진단그룹‘을 신설했다고 15일 공식 발표했다.

바이젠셀은 기존의 면역세포치료제와 유전자 치료제의 개발뿐만 아니라 면역체계 분석 진단키트 사업을 통해 ‘개인별 정밀맞춤의료‘를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 [바이젠셀 CI]

 

바이젠셀이 현재 개발 중인 진단키트는 ‘T세포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 ‘주조직적합성 항원 검사 제품‘, ‘주조직적합성 항원 항체 검사 제품‘이다.

코로나19 진단키트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감염성 질환 제품‘과 달리, 암과 같은 난치병 치료를 위한 ’면역체계 기반 진단키트‘를 개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세포 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은 국내 최초로 상용화를 시도하는 진단키트다. 종양의 진단에서부터 종양의 잔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미세잔류질환 측정과 면역치료 후 경과 모니터링까지 할 수 있는 종합 진단키트다.

T세포 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활용한 키트다. 기존에 쓰던 ‘전기영동 분석법‘이 종양의 진단과 잔존 여부만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정밀한 종양진단·면역치료 후 경과 모니터링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T세포 샘플이 필요해 그동안 국내에서는 상용화되지 못했다. 전 세계적으로도 글로벌 정밀진단 기술개발사인 ‘인비보스크라이브‘ 한 곳에서만 제작하는 희귀 진단키트다.
 

지난해 인비보스크라이브에서 개발한 제품이 국내 신의료기술평가를 통과해 연구용이 아닌 병원 판매도 가능해졌다. 면역치료를 위한 T세포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의 수요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바이젠셀은 국내 최초·최다 T세포 임상 경험과 다양한 T세포 샘플 보유 경쟁력을 바탕으로, ‘T세포 수용체 재배열 분석 제품‘을 내년 말까지 상용화할 예정이다.

또한 이 진단키트는 바이젠셀에서 개발 중인 난치질환 치료제의 정확하고 표준화된 치료 경과 모니터링을 하는데 활용할 수 있어 바이젠셀 파이프라인의 상용화를 더욱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바이젠셀은 면역체계 분석 진단키트 개발을 위해 ‘정밀의료진단그룹‘을 신설하고 가톨릭대 의생물학 박사 출신의 최희백 상무를 영입했다. 이에 더해 조직 개편을 통해 기존의 3개 본부를 9개 그룹으로 세분화했다. 치료제 파이프라인 조기 상용화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T&G장학재단, 경찰대학 교육진흥재단과 인재 양성 업무협약 체결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장학재단이 국가공헌 미래인재인 경찰대학생의 안정적 교육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경찰대학 교육진흥재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로 3번째를 맞은 전날 협약식은 김승택 KT&G장학재단 이사장과 김성희 경찰대학장, 이상현 경찰대학 교육진흥재단 이사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충청남도 아산시에 위치한

2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 T 앱 개편...편의성 높여
[메가경제=정호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 T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개선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개선으로 다양한 이동 서비스를 더 쉽고 직관적으로 탐색할 수 있게 되면서 카카오 T의 전반적인 사용성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지난 9월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T의 통합검색 기능을 개편하면서 이용자의 탐색 경험을 단순 경로 안내에

3

하이트진로, 취약계층 위한 '이동차량 지원사업' 박차...차량 전달식 진행
[메가경제=정호 기자] 하이트진로가 11년째 지속하고 있는 ‘이동차량 지원사업’의 차량 전달식을 마무리했다고 29일 밝혔다. 하이트진로는 10월 28일 서초사옥에서 김인규 하이트진로 대표이사와 전국 10개 사회복지기관 대표 및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동차량 지원사업의 차량 전달식을 진행했다. 2015년부터 시작된 이동차량 지원사업은 이동이 불편한 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