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연세사랑병원이 인공지능(AI)과 3D 프린팅 기술을 결합한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 플랫폼 ‘니비게이트(KNEEVIGATE)’를 10월부터 본격 시행한다.
해당 기술은 최근 보건복지부의 평가유예 신의료기술 제도를 통과하며 임상 적용이 가능해졌다.
![]() |
▲ 연세사랑병원, ‘니비게이트’ 복지부 신의료기술 승인 |
‘니비게이트’는 의료기기 전문기업 스카이브(SKIVE)와 공동 개발한 디지털 수술 시스템으로, 환자의 MRI 영상을 AI가 분석해 3차원 모델로 구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환자 개인의 해부학적 구조에 최적화된 맞춤형 절삭 가이드(PSI)를 3D 프린터로 제작한다. 이를 통해 절삭 오차를 최소화하고 수술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세사랑병원이 최근 발표한 국제학술지 Journal of Clinical Medicine(SCIE, IF 3.0) 게재 논문에 따르면, PSI를 적용한 환자군은 기존 수술 방식 대비 평균 11.6분의 수술 시간이 단축됐으며, 수술 후 하지 정렬 부정확성 비율도 36.3%→7%로 대폭 감소했다.
또한 대퇴골·경골 정렬 정확도가 개선돼 방사선학적 정밀도와 임상 효율성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연세사랑병원, 스카이브, 흥케이병원, 연세대학교 박관규 교수팀이 공동 수행했다.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은 “무릎 인공관절 수술에서 1~2도의 오차는 환자의 평생 보행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AI 분석과 3D 프린팅 맞춤형 가이드의 결합은 수술의 정밀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술적 진전”이라고 밝혔다.
병원은 이번 기술 도입과 함께 한국인의 해부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고굴곡형 ‘PNK 인공관절’도 함께 적용한다.
국내 환자 1만2000여 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개발된 이 인공관절은 최대 150도 굴곡이 가능해 좌식 생활 등 한국인 특유의 생활습관에 적합하다는 평가다.
연세사랑병원 관계자는 “AI·3D 기반 맞춤형 수술도구와 한국형 인공관절의 결합을 통해 환자 만족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