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서울시 AI 안부 확인 서비스 사업의 일환으로 ‘누구 비즈콜(NUGU bizcall)’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3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구별로 원하는 회사의 AI 콜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하는 경쟁 참여 사업에서 전체 25개 지역구 중 76%의 구와 계약을 맺고 지원한다.
![]() |
▲ 누구 비즈콜을 이용하는 모습. [SK텔레콤 제공] |
서울시 AI 안부 확인 서비스는 AI 콜을 활용해 1인 가구 등 대상자에게 1주 1회 전화해 안부를 확인하고 자치구 내 행정동과 연계해 필요 시 담당자가 직접 해당 가구를 확인‧관리하는 서비스다.
사업 기간은 지난달부터 내년 말까지다. 이번 사업에는 SKT를 포함한 3개 업체가 자사의 AI 콜 플랫폼으로 참여했다. 같은 예산 내 구마다 원하는 회사의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하는 경쟁 참여 형태로 진행됐다.
누구 비즈콜의 가장 큰 특징은 대상자의 안부 확인을 위한 시나리오를 구에서 필요한 내용으로 직접 작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대상자 특성에 맞게 발화 속도를 조절하거나 남‧여 페르소나를 변경할 수 있는 등 맞춤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SKT는 지속 가능한 민관협력형 운영방식을 고려해 누구 비즈콜에 SKT의 ‘AI돌봄 서비스’를 운영‧관리하는 사회적 기업 ‘행복커넥트’의 관제‧운영 서비스를 접목했다. 그 결과 현재 서울시 전체 25개 지역구의 76%인 19개 구가 SKT를 선택했다.
누구 비즈콜은 지난 7월 AI 콜 B2B(기업 대상 사업)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이번 서울시 AI 안부 확인 서비스는 시장 진출 후 첫 유상서비스 상용화 사례다.
윤현상 SKT A닷 상품담당은 “이번 누구 비즈콜의 서울시 AI 안부 확인 서비스 제공을 계기로 SKT가 보유한 AI와 ICT(정보통신기술) 역량이 사회 안전망 구축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