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시작되자 PC 3000대 파기... "증거인멸 정황"드러나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둘러싼 논란이 정치권으로 확대되며 파장이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인천 부평을, 국방위)은 28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른바 'KAI 게이트' 의혹을 제기하며 "국가 방산 핵심기관이 권력형 비리의 통로로 전락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박 의원은 지난 4월 강구영 전 KAI 사장을 명예훼손, 업무방해, 위증교사, 업무상 배임 혐의로 고발한 바 있다. 강 전 사장은 2022년 9월 대통령실 추천으로 KAI 사장에 취임한 이른바 '낙하산 인사'로 알려져 있다.
![]() |
| ▲ 박선원의원이 국회에서 기사회견을 열고 KAI의 의혹을 폭로했다. |
박 의원은 이날 "강 전 사장이 취임 후 스마트 플랫폼 사업을 일방적으로 중단하고 담당 임직원들을 허위로 고발했다"며 "폴란드 FA-50 수출 선수금 10억달러 관리 부실로 600억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최근 KAI 내부 문서에 자신의 이름이 언급된 점을 들어 "정치적 로비나 외부 압력을 의식한 대책 문건"이라고 비판했다.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조직적 증거인멸 의혹이다. 박 의원은 "KAI와 국방과학연구소(ADD), 드론작전사령부 간 불법 납품 구조 수사가 시작되자 KAI 내부에서 PC 포맷 및 파기 지시가 내려졌다"고 주장했다.
그는 "데스크톱 1000여대, 노트북 2000여대 등 총 3000대가 폐기됐으며, 대당 100만원으로 계산해도 약 30억원이 소요된 것으로 파악된다"며 "증거인멸 교사 및 공무집행방해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KAI의 비상장 기업 투자 결정도 문제 삼았다. "기술력이 부족한 비상장기업에 100억원 규모의 지분 투자를 단행한 것은 비자금 조성과 내부 결탁 가능성이 있다"며 윤리본부장, 경영진, 대표이사 직무대행의 책임을 물었다.
퇴직 임원 보수 문제도 제기됐다. 박 의원은 "강 전 사장이 지난 8월 퇴직 후에도 월 2500만원의 자문료와 차량 지원을 받고 있다"며 "이사회 결의 전 근로계약서를 본인이 직접 작성·서명해 자문료를 수령한 것은 업무상 배임 및 횡령"이라고 주장했다.
해외 수출 과정에서도 논란이 불거졌다. 박 의원은 "이라크 헬기 8대 수출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소방청 배정 헬기 2대를 급히 전용하도록 지시했고, 선수금도 받지 않은 채 수출이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말레이시아 FA-50 18대 수출 건에 대해서는 "대통령실과의 연계 정황, 김건희 여사 측근의 사업 개입 의혹이 있다"며 "마약 밀수 사건과의 연관성까지 배제할 수 없다"고 말해 논란을 증폭시켰다.
한편 KAI는 정부가 약 26%의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로, 준공기업 성격을 띠고 있어 경영 투명성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2024년 기준 KAI의 매출은 약 5조원 규모로, KF-21 개발과 FA-50 수출 등 국내 방산산업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메가경제는 박선원의원의 주장에 대해 KAI측에 공식입장을 물었으나, 별도의 답변을 들을 수 없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