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엔지니어링, 캐나다 앨버타주와 소형모듈원자로 건설 맞손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12-02 14:03:40
  • -
  • +
  • 인쇄
국내 4개 기업·기관과 캐나다 3개 기관 합작

현대엔지니어링과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경상북도, 한동대학교, 캐나다 앨버타주 정부, 캘거리 대학, CKBC사는 ‘캐나다 앨버타주 소형원자로 건설사업’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MOU 체결식은 비대면으로 진행됐다.

국내 현대엔지니어링 등 4개 기업·기관과 캐나다 3개 기관은 소듐냉각고속로(SFR) 기술을 활용해 캐나다 앨버타주에 100MWe(메가와트일렉트릭)급 소형원자로를 건설할 예정이다. 전력생산·공정열을 이용한 수소생산 등 다양한 부문의 기술개발 협력을 추진한다.
 

▲ 4세대 소듐냉각고속로(SFR) 구조도 [현대엔지니어링 제공]

 

SFR은 액체 소듐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원자로다. 높은 에너지의 고속중성자를 이용한 핵분열 반응에서 생산된 열에너지를 소듐 냉각재로 전달해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증기로 터빈을 구동해 전기를 생산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1990년대부터 국책과제를 통해 제4세대 원전인 소듐냉각고속로 개발을 수행해 전기출력 150MWe급 PGSFR의 주요 계통에 대한 기본 설계를 마쳤다. 이를 바탕으로 캐나다 수출형 100MWe급 장주기 발전용 SFR을 개발할 예정이다.

캐나다 앨버타주는 오일 산업과 전체 발전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화석 연료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량의 이산화탄소(CO2)를 감축하기 위해 소형원자로(SMR)을 활용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기술 개발에 힘써왔다.

캐나다 앨버타주가 지난 4월에 캐나다 뉴브런즈윅주, 온타리오주, 서스캐처원주와 SMR 개발 협력 MOU를 맺은 뒤 SMR 개발사들과 합의한 첫 번째 개발 협약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현대엔지니어링은 향후 캐나다 앨버타주에 들어설 SFR 건설사업의 설계·조달·시공(EPC) 역무를 수행하게 된다.

현대엔지니어링을 포함한 협약 참여기관은 기술과 인적자원 교류 및 업무협력을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원과 캐나다 현지에 합동사무소를 개설한다. 이어 소형원자로 플랜트 설계와 개발계획을 수립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앨버타주 데모 플랜트 건설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이번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현대엔지니어링은 제4세대 원자력 혁신 기술로 평가받는 소듐냉각고속로 기술 분야를 선도하게 됐다”며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봉화·태백 주민들,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반대 집회…"생존권 위협하는 결정"
[메가경제=정호 기자] 경북 봉화군, 석포면, 인근 강원도 태백시 주민들로 구성된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이하 공투위))는 4일 경북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영풍 석포제련소의 이전 또는 폐쇄 논의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공투위는 성명서를 통해 “경상북도와 정부가 일부 환경단체의 일방적인 주장에 치우쳐 제련소 이전과 폐쇄를 논의

2

김영섭 KT 대표, 이사회에 연임 포기…"전국민 유심 무상 교체 실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김영섭 KT 대표가 연임을 포기했다. 또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한 이용자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도 진행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김 대표는 이날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연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김 대표의 공식 임기는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까지다.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이날 대표

3

롯데웰푸드, 인천시 어린이 구강 건강 돕는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웰푸드가 인천광역시교육청, 충치예방연구회와 ‘자일리톨 스마트해빗(SMART HABIT)’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롯데웰푸드는 지난 3일 인천광역시교육청에서 ‘어린이 구강건강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김대원 롯데웰푸드 건과마케팅부문장, 도성훈 인천광역시교육감, 이병진 충치예방연구회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