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호흡증 가려내는 AI로 '수술 정확도', '환자 안전' 다 잡는다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4-04-26 14:30:35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지방흡입 비만 특화 의료기관 365mc는 최근 이화여대 강윤철(경영대학 경영학과), 김진우(의과대학 부속 서울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수행한 '인공지능(AI) 지방흡입 마취 안전 예측' 연구를 통해 수면 마취 중 무호흡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AI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무호흡은 환자가 일시적으로 호흡을 멈추는 상태로, 이는 뇌, 심장 등의 중요 장기에 산소 공급을 감소시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수면 마취는 호흡기 기능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 중 및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 무호흡 가능성을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환자의 안전과 수술의 성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무호흡 발생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지침이나 도구가 제한적이었다. 

 

▲ 365mc는 지난해 이화여자대학교 강윤철·김진우 교수팀과 ‘인공지능 지방흡입 마취 안전 예측’ 연구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양 기관의 공동연구팀은 최신 AI 기술을 활용해 수술 환자의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무호흡 발생의 위험 요소를 식별하며 90%에 육박하는 정확도로 수술 전 무호흡을 예측할 수 있는 AI 알고리즘을 개발해 내는 데 성공했다.

양 기관은 성공적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Medical, Computer Science 분야 국제 저널 혹은 학회 타깃으로 논문을 투고할 예정이며, 해당 논문의 신뢰성을 기반으로 식약처 CDSS 인증을 받아 대대적인 상용화 단계로 돌입할 계획이다.

㈜365mc 김남철 대표이사는 “최근 의료계에서도 AI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수면 마취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인 무호흡증을 예측하고, 마취 깊이(BIS)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면 수술 시 의사의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환자에게는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해 의료 분야의 발전을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응용연구 전문가인 강윤철 교수는 “본 연구를 토대로 수면 마취 안전성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성공하게 된다면 인공지능 기술로 보다 안전한 의료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한 김진우 이대의대 교수는 “이번 프로젝트는 지방흡입뿐만 아니라 수면 내시경 등 각종 의료 시술 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수면 마취의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말 큰 가치의 연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 고윤정과 함께한 ‘25FW Tech for Lifestyle’ 화보 공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아웃도어 브랜드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이 다가오는 가을 시즌을 맞아 앰버서더 고윤정과 함께한 ‘25FW Tech for Lifestyle’ 화보를 공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화보를 통해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은 일상과 휴식을 아우르는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웨어를 제안한다. 화보 속 고윤정은 ‘내추럴 우븐 아노락’과 ‘우븐 스

2

삼성자산운용, Kodex ETF 이벤트 6종 진행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Kodex 순자산 90조원 돌파'를 기념해 ETF 투자자를 위한 대규모 이벤트 6종을 새롭게 시작한다고 12일 밝혔다. Kodex의 ETF 맛집 캠페인 시리즈인 '배당맛집 ETF', 'AI맛집 ETF' 등 Kodex ETF를 사랑해 주신 투자자에게 감사함을 돌려드린다는 취지

3

현대차증권, 대학생 서포터즈 1기 발대식 성료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차증권이 지난 3일 서울 영등포구 현대차증권 본사에서 ‘대학생 서포터즈 1기 발대식’을 성료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날 발대식은 안현주 WM본부장, 정창욱 경영지원실장, 김정훈 연금사업실장, 이승기 재경실장 및 대학생 서포터즈 12명 등이 참석했다. 지난 7월, 현대차증권은 MZ세대와의 소통 강화를 위한 브랜드 캠페인의 일환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