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페이스랩,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공급기업 선정

오민아 기자 / 기사승인 : 2025-02-27 15:42:21
  • -
  • +
  • 인쇄

[메가경제=오민아 기자] 프랜차이즈 경영관리 SaaS 솔루션 대표 기업 포스페이스랩(대표 승영욱)이 ‘2025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의 공급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 포스페이스랩이 ‘2025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공급기업’에 선정됐다. [이미지=포스페이스랩]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주관하며,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혁신과 서비스 개발이 필요한 중소기업,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사업을 통해 데이터 및 가공 기술을 보유한 ‘공급기업’과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수요기업’을 연결하고, 수요기업이 데이터 구매, 가공에 사용할 수 있는 바우처를 제공한다. 

 

포스페이스랩은 2020년, 2022년, 2024년에 이어 올해 네 번째로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공급기업에 선정됐다. 올해도 외식 프랜차이즈 경영관리 솔루션 ‘데이터퓨레’를 제공해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의 디지털 전환을 도울 예정이다.

 

포스페이스랩에 따르면 데이터퓨레는 업계 최고의 스크래핑 엔진을 기반으로 프랜차이즈 본사가 데이터 중심 경영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분석 플랫폼이다.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해 ▲매출 관리 ▲광고 효율 분석 ▲경쟁사 분석 등 다각도의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고객사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 컨설팅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퓨레의 통합 분석 기능을 통해 프랜차이즈 본사는 ▲매출 현황 ▲메뉴별 판매 실적 ▲VOC  ▲계약 매장 현황 등 핵심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받을 수 있다. 아울러 본사 실무진은 ▲데이터 취합 시간 단축 ▲마케팅 효과 극대화 ▲이상 매장 조기 발견 등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가맹점 관리자와 슈퍼바이저 역시 원활한 소통과 체계적인 운영 관리를 통해 현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올해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에서는 ▲여러 가맹점 데이터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데이터 대시보드 구축 ▲메뉴 통합 컨설팅 ▲AI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등 획기적인 솔루션을 추가로 제공하며 고객사 비즈니스 혁신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또한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매장, POS, 배달 앱 데이터 등을 연동해 매출 관리, 광고 효율 분석, 리뷰 분석 등의 보고서를 제공하며, 포스페이스랩의 ‘비즈스토어’ 연동을 통해 맞춤형 경영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민아 기자
오민아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벨킨, Qi2 25W 고속 무선 충전 솔루션 공개…고속 충전의 미래 개척
[메가경제=정호 기자] 글로벌 모바일 액세서리 브랜드 벨킨이 22일 더 플라자 호텔 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무선 충전 시장의 비전과 기술 리더십을 제시하며, 세계 최초 Qi2 25W 인증을 획득한 차세대 무선 충전 솔루션 ‘25W UltraCharge’ 시리즈 3종을 공개했다. 벨킨은 전 세계 누적 10억 개 이상의 제품 판매와 미국 모바일 파워 액세서

2

쿠팡, 전남도청·상인연합회와 MOU…전통시장 디지털 전환 협력
[메가경제=정호 기자] 쿠팡이 전라남도청, 전라남도상인연합회와 손잡고 전통시장 상인의 디지털 전환과 판로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22일 오후 1시 30분, 전라남도청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민병기 쿠팡 정책협력실 부사장, 강위원 전라남도 경제부지사, 한승주 전남상인연합회장이 참석한다. 이번 협약은 전남 지역 전통시장 상인의 온라인 진출을 지

3

글램팜, 자사몰 리뉴얼 편의성 극대화…특별 프로모션 진행
[메가경제=정호 기자] 언일전자의 헤어기기 브랜드 글램팜(GLAMPALM)이 최근 사용자 편의성 극대화를 위해 온라인 자사몰을 전면 리뉴얼하고 이를 기념해 회원 대상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글램팜은 이번 리뉴얼을 통해 소비자가 직관적으로 상품을 검색할 수 있도록 사이트 구조와 화면 구성을 개선하고, 한층 세련된 디자인으로 시각적 만족도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