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2분기 영업익 4290억 ‘사상 최대’…“전기차배터리‧ESS 성장 덕”

김형규 / 기사승인 : 2022-07-29 15:52:21
  • -
  • +
  • 인쇄
에너지 부문 매출 4조 716억 원…전년比 50.1% 성장

삼성SDI가 올해 2분기 영업이익 4000억 원대를 돌파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전 세계적인 자동차 배터리 시장의 성장과 에너지저장장치(ESS) 판매 확대 등에 힘입은 결과다. 올해 하반기에도 중대형 전지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성장으로 호실적이 전망된다.
 

▲ 삼성SDI CI

 

삼성SDI는 29일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실적이 매출 4조 7408억 원, 영업이익 429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매출과 영업익이 각각 42.2%, 45.3% 대폭 성장한 수치다.

전 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7.1% 증가했고 영업익은 33.1% 올랐다.

특히 에너지 부문에서 매출은 4조 716억 원으로 1년 전보다 50.1% 성장했다. 영업익은 244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률은 6%를 기록했다.

삼성SDI에 따르면 전 분기와 비교해 중대형 전지 매출이 증가했고 수익성도 개선됐다.

전기차 배터리는 지속적인 수요 성장 속에서 ‘Gen.5(젠5)’ 등 고부가 제품 판매가 확대됐다. 

 

또한 스텔란티스와의 합작법인 계약을 체결했고, 전고체 전지 파일럿 라인 공사를 계획대로 진행하는 등 중장기 성장의 발판을 준비해왔다.

이에 더해 ESS 전지는 전력용 판매 확대로 매출이 증가했고, 원소재 가격 상승분을 판가에 반영해 수익성도 개선된 것으로 분석된다.


소형 전지는 원형 전지를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했다. 원형 전지는 전기차와 고출력 전동 공구 분야 중심으로 매출이 성장했다.

다만 파우치형 전지는 IT 제품 수요가 떨어지고 하반기 신제품 대기 수요의 영향을 받아 매출이 줄었다.

전자재료 부문 매출은 6692억 원으로 1년 전보다 7.5% 증가했으나 전 분기 대비 8.4% 감소했다. 영업익은 184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45.5% 증가했다.

전자재료 부문은 전 분기와 비교해 고부가 제품 확대로 수익성을 높였다. OLED 소재는 신규 플랫폼으로의 공급이 시작돼 매출을 늘렸고, 반도체 소재는 전분기 수준의 매출을 유지했다.
 

▲ 삼성SDI 2022년 2분기 실적 [삼성SDI 제공]

 

삼성SDI는 올해 하반기 중대형 전지 부문에서 고부가가치 제품을 중심으로 판매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는 헝가리 2공장이 가동되면서 젠5 배터리 판매가 본격화되고 차세대 플랫폼의 수주 활동도 지속할 계획이다. ESS 전지는 고유가 상황과 친환경 정책 확대, ESS 신제품 출시 등으로 판매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소형 전지는 모빌리티용을 중심으로 판매 성장이 전망된다. 원형 전지는 전기차와 전기자전거 등 모빌리티용 판매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신규 전기차 프로젝트 대응을 위한 46파이(지름 46mm) 라인도 구축 중이다.

하반기 전자재료는 OLED와 반도체 소재를 중심으로 판매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또 반도체 소재는 신제품 적기 출시를 통해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다. 편광필름은 고객 다변화를 통해 수요 감소에 대응할 방침이다.

최윤호 삼성SDI 대표(사장)는 "시장수요‧공급 불확실성과 리스크 요인 확대 등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며 "차세대 플랫폼과 전고체 전지 등 미래 성장 기반을 확고히 구축해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 기조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동양레저, 핵심 자산 매각 위기에도 내부 감사 기능 부실 논란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동양레저는 경기도 안성 파인크리크CC(27홀)와 강원도 삼척 파인밸리CC(18홀) 등을 운영하고 있는 레저 회사로 최근 ‘핵심 자산 매각 위기’에 몰린 가운데, 회사 내부의 감시 시스템마저 유명무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27일 업계에 따르면, 동양레저는 핵심 사업장인 골프장 2곳이 매물로 나올 것으로 보여 사업

2

CARLYN(칼린), 티몰이 뽑은 ‘올해의 성장 브랜드상’수상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예진상사의 디자이너 브랜드 칼린(CARLYN)이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바바 티몰(Tmall)이 주관하는 신흥 브랜드 육성 프로그램에서 ‘올해의 성장 브랜드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중국 시장에서 칼린이 거둔 성과와 함께,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다. 티몰은 2025년부

3

“홈플러스는 농협이 인수해야 맞는 시나리오”…10년전 정용진 신세계 회장 발언 주목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홈플러스 인수 인수의향서 접수 마감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10여년 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당시 부회장)의 발언이 다시 회자되고 있다.27일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정치권과 노동계에서 농협이 홈플러스를 인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10여년 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당시 부회장)의 발언이 회자되고 있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