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ITC, 메디톡스 제소에 휴젤 조사 착수...'보툴리눔 톡신' 소송전 본격 재점화

김형규 / 기사승인 : 2022-05-03 17:00:12
  • -
  • +
  • 인쇄
메디톡스 “한국 제약계 악의적 기술 탈취 행위 바로 잡겠다”
휴젤 “ITC 조사는 절차일 뿐, 메디톡스 주장에는 근거 없다”

메디톡스가 휴젤을 상대로 제기한 보톨리눔 균주 도용 등의 혐의에 대해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3일(이하 현지시간) 조사에 나섰다.

이로써 지난 3년여간 진행됐던 메디톡스‧대웅제약 소송전에 이어 다시 한번 국내 제약업계에서 보툴리눔 균주 분쟁이 본격화됐다.
 

▲ [메디톡스, 휴젤 각사 CI]

 

메디톡스는 지난 3월 30일 휴젤이 자사 보툴리눔 균주와 제조공정, 영업비밀 등을 절취‧도용했다고 주장하며 휴젤과 휴젤 아메리카, 크로마파마를 ITC에 제소했다. 이번 ITC의 조사는 이에 따른 조치다.

함께 제소된 휴젤 아메리카는 휴젤의 자회사로 미국 내 법인이며, 크로마파마는 휴젤의 글로벌 유통 협력사다.

메디톡스는 이번 소송을 위해 세계적 로펌 ‘퀸 엠마뉴엘 어콰트 앤 설리번’을 선임했다고 밝혔다. 이에 더해 소송‧분쟁 해결 투자 분야 전문가로부터 소송 관련 자금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메디톡스 관계자는 “ITC의 조사 착수 결정으로 휴젤의 불법행위가 낱낱이 드러나게 될 것”이라며 “메디톡스는 이번 소송을 통해 지적 재산권 보호뿐만 아니라 한국 제약계 음지에 고질적 병폐로 남아 있는 악의적 기술 탈취 행위를 바로 잡는 계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휴젤은 새로운 최대 주주인 GS그룹과 함께 맞대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9일 휴젤의 최대 주주가 된 ‘아프로디테 애퀴지션 홀딩스’에는 GS그룹이 속해 있다. 아프로디테는 지난해 8월 휴젤의 전 최대 주주 베인캐피탈의 리닥과 주식양수도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또한 휴젤은 법적 대응을 위해 지난달 국내와 미국에 각각 로펌을 선임했으나 구체적인 이름은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휴젤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정은 절차일 뿐 메디톡스의 주장에 근거가 있음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ITC 조사에 필요한 모든 법적 절차에 적극적으로 임해 메디톡스의 음해와 비방은 불식시키고 휴젤의 독자적인 기술력을 다시 한번 증명해 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업계는 이번 분쟁이 메디톡스가 대웅제약을 상대로 진행했던 보툴리눔 균주 관련 소송과도 비슷한 양상을 보일지 주목하고 있다.

앞서 메디톡스는 대웅제약과 에볼루스를 상대로 ITC 소송을 벌여왔다. 그 결과 지난 2020년 대웅제약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의 미국 내 수입금지 10년 결정 등을 받았고 이를 통해 지난해 에볼루스와 합의를 이끌어 냈다. 에볼루스는 당시 대웅제약의 미국 판매 협력사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T, 전 고객 대상 유심 무상 교체 시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 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오는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USIM) 무상 교체를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앞서 피해 고객에 대한 위약금 면제 조치에 이은 추가적인 고객 보호 대책으로, 통신서비스 전반의 신뢰 회

2

봉화·태백 주민들,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반대 집회…"생존권 위협하는 결정"
[메가경제=정호 기자] 경북 봉화군, 석포면, 인근 강원도 태백시 주민들로 구성된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이하 공투위))는 4일 경북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영풍 석포제련소의 이전 또는 폐쇄 논의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공투위는 성명서를 통해 “경상북도와 정부가 일부 환경단체의 일방적인 주장에 치우쳐 제련소 이전과 폐쇄를 논의

3

김영섭 KT 대표, 이사회에 연임 포기…"전국민 유심 무상 교체 실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김영섭 KT 대표가 연임을 포기했다. 또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한 이용자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도 진행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김 대표는 이날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연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김 대표의 공식 임기는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까지다.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이날 대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