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삼복더위 이겨낼 보양식 섭취 시 ‘캠필로박터’ 식중독 주의해야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07-05 17:11:07
  • -
  • +
  • 인쇄
닭 익힐 땐 충분히 속까지 익히고 교차오염 방지해야

본격적으로 삼복더위가 기승을 부리기 시작하는 7월을 맞아 닭, 오리 등 식재료를 이용한 보양식을 소비가 늘면서 식중독 발생 주의보가 내려졌다.

식품의약안전처(처장 김강립)는 5일 보양식 재료로 쓰이는 생닭 등 식재료 관리 시 식중독을 일으키는 캠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 이하 캠필로박터) 발생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 [식품의약안전처 제공]

 

캠필로박터는 닭과 오리 등 가금류 내장에 흔히 서식하는 균으로 식재료 조리 시 불완전한 가열과 교차 오염에 의해 식중독을 유발한다.

식약처에 따르면, 생닭을 보관할 때에는 핏물이 다른 식품에 오염되지 않도록 생닭을 냉장고 제일 아래 칸에 보관해야 한다. 또 생닭 취급에 사용한 칼‧도마 등은 다른 식재료에 사용해선 안 된다. 구분 사용이 어렵다면 식재료를 바꿀 때마다 깨끗하게 씻거나 소독해야 한다.

생닭 또는 생닭을 씻은 물이 주변 다른 식재료와 교차 오염되지 않도록 해야 안전하다. 조리 전‧후 손 씻기도 잊어서는 안 된다.

조리할 때에는 속까지 완전히 익도록 중심온도가 75℃에서 1분 이상 충분히 가열 조리되도록 해야 안전하다.

식약처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총 2023명(60건)의 캠필로박터 식중독 환자가 발생했다. 매년 5월부터 환자가 늘어나기 시작해 초복이 시작되는 7월 816명(40.3%, 25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캠필로박터 제주니 식중독 월별 발생 추이(‘16~’20누계) [식품의약안전처 제공]

 

캠필로박터 식중독 발생장소는 학교 급식소 760명(37.6%, 11건)으로 제일 많았다.

또 기업체 구내식당 등 집단급식소 604명(29.9%, 18건), 50인 미만 급식소 또는 야외 행사 등 기타시설 446명(22%, 16건), 음식점 207명(10.2%, 13건) 순으로 발생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집단급식소 식중독 예방 교육을 강화하는 등 사전 안전관리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골든블루, 싱어송라이터 '이제'와 함께한 포시즌 프로젝트' 가을편 공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골든블루는 유튜브 콘텐츠 시리즈 ‘포시즌(Four Season) 프로젝트’의 세 번째 콘텐츠인 ‘가을편’을 ‘골든블루’ 공식 유튜브 채널에 공개했다고 17일 밝혔다. ‘포시즌 프로젝트’는 봄부터 겨울까지 각 계절별로 가장 잘 어울리는 보이스를 가진 아티스트와 협업하는 유튜브 콘텐츠 시리즈로 총 4팀의 아티스트이 각자의 감성적 플레이리

2

DJ라이브 공연과 함께하는 점심...아워홈, ‘바이트더비트’ 캠페인 첫 선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아워홈이 고객 경험 강화를 위해 식음과 음악을 결합한 색다른 프로젝트를 선보인다. 아워홈은 사내식당 차별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바이트더비트(Bite the Beat)’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17일 밝혔다. 캠페인 기간 동안 아워홈은 사내식당 현장에서 DJ 라이브 공연을 진행한다. 음악과 식사가 어우러지는 브랜드 경험을 고객들에게

3

노랑풍선, 쇼핑엔티서 ‘중국 계림+양삭’ 상품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노랑풍선은 쇼핑엔티 홈쇼핑에서 중국 계림+양삭 상품을 선보인다고 17일 밝혔다. 오는 19일과 20일 밤 10시 35분, 쇼핑엔티를 통해 소개되는 '계림+양삭 5/6일' 상품은 △진에어(10월 22일부터 11월 26일까지 수, 토요일 주 2회) △제주항공을 통해 출발하는 일정으로 구성했다. 여행 일정으로는 '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