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엔지니어링, IPO 절차 본격 착수...‘LG엔솔’ 이어 공모주 시장 달구나

이석호 / 기사승인 : 2022-01-24 03:20:27
  • -
  • +
  • 인쇄
장외시장 시총 8조 육박...25~26일 기관 수요예측
공모 자금, 에너지·친환경 등 신사업에 투자

올해 첫 공모주 청약 시장에서 무려 114조 원가량의 자금을 끌어모으며 역대급 흥행 돌풍을 일으킨 LG에너지솔루션에 이어 현대엔지니어링이 기업공개(IPO) 절차에 본격 착수한다.
 

▲ 현대엔지니어링 사옥



현대엔지니어링은 오는 25~26일 기관 수요예측을 거쳐 내달 중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될 예정이다.

시가총액이 최대 6조 원 이상으로 예상되는 대어급 상장으로 올해 공모주 시장에서 흥행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장외주식 거래 플랫폼인 38커뮤니케이션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 현대엔지니어링 주가는 10만 5000원으로 시가총액이 약 7조 9751억 원에 달한다.

희망 공모가 범위는 5만 7900원~7만 5700원으로, 최상단 기준 시가총액은 약 6조 525억 원에 이른다. 공모 규모는 9264억 원~1조 2112억 원이다.

모회사인 현대건설의 지난 21일 기준 시가총액은 4조 7772억 원이다.
 

▲ 현대엔지니어링의 우즈베키스탄 GTL 플랜트 주경 [사진=현대엔지니어링 제공]


현대엔지니어링에 따르면, 지난 2020년 말 기준 매출은 플랜트/인프라 45.5%, 건축/주택 43.5%, 자산관리 및 기타 11%로 구성됐으며, 국내외 매출 비중도 각각 50%다.

최근 3개년간 매출은 2018년 6조 2862억 원, 2019년 6조 8011억 원, 2020년 7조 1884억 원으로 꾸준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3분기까지 영업이익이 3142억 원으로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해 코로나19 확산 사태 이후 수익성도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같은 기간 신규 수주 규모는 10조 146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4.6% 늘었다. 수주 잔고는 약 27조 7800억 원이다.

특히, 재무 건전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유동비율은 226.3%이며, 부채비율은 59.4%로 동종 업계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 현대엔지니어링 신사업 투자계획(~2024년) [출처=전자공시시스템]


이번 공모 자금은 CO₂ 처리·자원화 사업, 폐기물 소각·매립장 운영, 차세대 소형원자로(MMR) 발전소 건설 등 신사업 투자에 쓰일 계획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에너지 전환 및 친환경 분야에서 신사업을 추진하면서 현대차그룹의 에너지 전담 회사로 거듭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에너지 전환 분야에서는 ▲폐플라스틱 자원화 ▲암모니아 수소화 ▲초소형원자로 ▲자체 전력 생산사업 등을 추진 중이며, 친환경 분야에서 ▲CO₂ 자원화 ▲폐기물 소각·매립 사업을 각각 준비하고 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T, 전 고객 대상 유심 무상 교체 시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 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오는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USIM) 무상 교체를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앞서 피해 고객에 대한 위약금 면제 조치에 이은 추가적인 고객 보호 대책으로, 통신서비스 전반의 신뢰 회

2

봉화·태백 주민들,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반대 집회…"생존권 위협하는 결정"
[메가경제=정호 기자] 경북 봉화군, 석포면, 인근 강원도 태백시 주민들로 구성된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이하 공투위))는 4일 경북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영풍 석포제련소의 이전 또는 폐쇄 논의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공투위는 성명서를 통해 “경상북도와 정부가 일부 환경단체의 일방적인 주장에 치우쳐 제련소 이전과 폐쇄를 논의

3

김영섭 KT 대표, 이사회에 연임 포기…"전국민 유심 무상 교체 실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김영섭 KT 대표가 연임을 포기했다. 또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한 이용자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도 진행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김 대표는 이날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연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김 대표의 공식 임기는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까지다.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이날 대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