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보라, '의료파업 언급' 논란에 "인지의 오류 있었다" 사과문 올려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06-19 09:35:48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최근 득남한 배우 황보라가 "제왕절개 당시 의료파업으로 인해 무통주사를 맞지 못했다"고 말한 것에 대해, "인지의 오류가 있었다"며 공식 사과했다.  

 

▲ 황보라가 '오덕이 엄마'에서 한 의료 파업 발언에 대해 18일 공식 사과했다. [사진=오덕이엄마]

 

황보라는 18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지난 16일 업로드된 유튜브 채널 '오덕이 엄마'에서 제왕절개 출산 과정을 묘사하던 중 오해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 직접 말씀을 드린다"라며 장문의 사과문을 올려놨다.

 

글에서 그는 "지난 5월 말 저는 제왕절개 후 무통주사 PCA를 처방받았다. PCA는 '자가 통증 조절 장치'가 포함돼 있으며, 병원 측으로부터 자세한 사용법 안내를 받았으나 수술 후 경황이 없어 인지의 오류가 있었다. 매 순간 최선을 다해 애써주셨던 담당 교수님과 병원 관계자 분들께 죄송하다"고 밝혔다.

 

이어 "제왕절개 후 처방해 주신 무통 주사 PCA 외에 페인버스터를 문의드렸으나, 올해 초부터 인력난으로 인해 페인버스터 처방을 하고 있지 않다는 병원 측의 답변을 받았다. 영상 속에서 이 과정에 대해 설명하던 중 '의료파업 때문'이라는 부적절한 표현을 사용하였고, 신중하지 못했던 표현으로 인해 혼란을 드려 죄송하다"고 전했다.

 

앞서 16일 그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 '오덕이 엄마'에서 의료파업 때문에 무통 주사를 맞지 못 했다고 밝혀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의 강력한 항의를 받았다. 의협 측은 18일 공식 입장문을 내고 "배우 황보라가 제왕절개 후기 게시를 통해 의료파업 때문에 무통주사를 못했다는 주장을 한 것에 대해 심각한 유감을 표한다"라고 밝히며 정정보도를 요구했다. 

 

의협 측은 "황보라가 제왕절개로 분만한 지난 5월에는 의사파업이 없었다. 의사파업 때문에 무통 주사를 맞지 못했다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보도이며, 무통 주사와 페인버스터는 제왕절개 수술 중에 시행하는 시술로, 황 씨가 수술 후에 의사가 없어서 무통 주사를 맞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것도 논리적으로 말이 안 되는 주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의 의료농단 사태에 맞서 의료 정상화를 위해 의사들이 단체행동에 나선 엄중한 시국에, 다수 언론이 사실관계가 틀린 내용을 보도해 의사를 악마화하고 잘못된 여론을 선동한 것에 다시 한번 유감을 표한다. 잘못된 사실을 게시한 황보라 측은 해당 게시물을 정정 또는 삭제 조치하기 바란다"라고 요구했다.

의협 측의 대응에 황보라는 즉각 문제의 영상을 삭제 조치한 뒤,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사과문을 올렸다.

 

한편 황보라는 김용건의 차남이자 배우 하정우의 동생인 김영훈 워크하우스컴퍼니 대표와 결혼했다. 지난 달 제왕절개로 아들 '오덕이'를 출산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동아오츠카, 시각장애인 가이드러너 양성 프로그램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동아오츠카는 ‘포카리스웨트 가이드러너 트레이닝 프로그램(파랑달벗 2기)’이 29일 수료식을 끝으로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고 30일 밝혔다. ‘파랑달벗’은 ‘세상을 파랗게 물들이며 함께 달리는 벗’이라는 의미로, 시각장애인의 러닝 파트너가 되어 안전한 달리기를 돕는 전문 가이드러너를 양성하는 사회공헌 프로젝트다. 가이드러너는 시각장애인

2

강원랜드 사회공헌재단, 16년째 겨울나기 지원사업 통해 지역 상생 실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사회공헌재단(이사장 최철규)은 29일 태백 진폐복지회관에서 ‘2025년 겨울나기 지원금 전달식’을 열고, 폐광지역 7개 시·군과 강원특별자치도 내 진폐재해자 및 탄광순직자 유가족 5,841명에게 총 27억5천만 원을 지원했다고 밝혔다.전달식에는 최철규 재단 이사장을 비롯해 김익래 재단 상임이사, 전국진폐재해자협회 이창남 회

3

알리익스프레스, 합리적 가격·만능 쇼핑 경험으로 2030 여성 고객층 확대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알리익스프레스가 합리적 가격 정책과 독창적인 상품 큐레이션을 통해 국내 충성 고객 기반을 확대하며 시장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시장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해외직구 플랫폼 인지도 및 이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알리익스프레스 브랜드 인지도는 85%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